Page 112 - 전시가이드 2021년10월
P. 112
한글이야기-사랑의노래, 130.3×80.0cm Acrylic on canvas, 2021
2021. 10. 6 – 10. 11 전북도립미술관 서울관 (T.02-720-4354, 인사동)
사랑의 노래
그 외 다양한 낱말들로 이루어진 작업을 이어가다 2017년 본인만의 한글문자
노윤영의 한글이야기 를 그려냈다. 이 때 찾은 문자를 토대로 계속된 연구와 함께 ‘욕망’연작과 ‘짝
꿍’연작을 이어가다 2020년 ‘사랑의 노래’ 한글드로잉을 시작하였다.
글: 송은예술기획 제공 ‘사랑의 노래’에서 사랑은 사람이 살아가면서 가장 아름답게 생각하는 말이기
도 하지만 가장 필요한 낱말인지도 모른다. 노윤영 작가는 이 ‘사랑’이 타인
을 위한 노래일수도 있으며 자신을 위한 노래가 되기도 하여, 각박한 현대를
노윤영으로 개명한 노영선 작가는 오랫동안 한글이야기 연작으로 작업을 해 살아가는 사람 중 자존감이 낮거나 우울하고 힘겨운 사람들에게는 자신을 향
오고 있다. ‘108장의 드로잉’을 시작으로 한글의 자모음을 늘리고 줄여 기하학 한 노래를 부르고 타인을 향한 시선이 그려질 때는 타인에게 향하는 노래가
적 문자추상 작업을 해오던 중 2010년부터 반듯한 선을 무너뜨리는 작업으로 되기도 한다고 말한다.
옮겨갔다. 마치 몬드리안의 차가운 추상에서 이칸딘스키의 뜨거운 추상으로
옮겨가듯 감성적인 작업으로 그동안의 틀을 무너뜨리는 작업을 보이고 있었 한글은 말과 소리를 표기할 수 있는 우리 고유의 문자로 훈민정음 해례본에
는데 이것은 새로운 작업을 위한 몸부림으로 보였다. 서 창제된 한글이 음양오행의 원리를 담고 있다. 노윤영 작가는 이 오행의 발
음기호와 음양오행에서 뜻하는 의미들을 낱말과 사계절의 의미를 오행을 기
작업에 대한 계속된 갈망에서 2014년 새로운 한글의 자모음이 반듯한 선이 아 반으로 연구하여 작품으로 풀어 세상을 향해 ‘사랑의 노래’를 부르고 있다.
닌 곡선으로 구불구불 그려낸 선 작업이 등장하였고 친구, 아버지와 어머니,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