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0 - 동북포루 수리보고서-2020.최종
P. 190
동북포루 복원정비공사 보고서
합각
종도리는 7자 치수이다. 이 치수는 칸 치수이므로 뺄목 길이만큼 내밀고 합각을 설치하면 합각이 낮고
길이가 부족하다. 때문에 실입편 종심목 2개를 사용하여 합각이 설치되는 곳까지 종심목이 종도리를 올
라타서 내미는 것이기 때문에 높이도 적당하게 구성이 가능하다.
〔사진3-107〕 종심목 연결 〔사진3-108〕 누리개 설치
〔사진3-109〕 종심목 받침목과 허가연 붙이기 〔사진3-110〕 합각 만들기
의궤에는 ‘ 모기서까래 14개’ 를 사용하였다고 기록되어있는데 이는 양 합각에 7개씩, 중앙에 1개 양옆
으로 3개씩의 목기연을 끼웠다. 다만 합각의 길이에 비하여 목기연의 수가 양쪽으로 한 개씩이 아쉽다.
목기연이 끼워지면 합각이 흔들거리지 않으므로 매우 유리한 결속력을 가지게 되나 의궤의 기록대로 수
량을 맞추었다.
더구나 목기연 수량이 있는 부분까지 적심과 기와 등이 얹혀지기 때문에 목기연이 추가 조성된다 하더
라도 적심 속으로 감추어지는 공간이 되므로 문제는 없다. 목기연의 중심목은 용마부에 잘 맞추어지도
록 치목하여 올리고 나머지 목기연도 허공에 뜨지 않도록 하고 상부에 목기연 개판을 올려 마감하였다.
- 1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