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93 - 동북포루 수리보고서-2020.최종
P. 293

Ⅳ. 공사 성과



               아 있었다면 지금 이 현황도 그대로 보존해야할 중요한 가치로서 인정이 될 것이다. 그러나 동북포루는

               그  역사적  자료의  근거가  명확하여  복원을  하였으나  현존하는  건축물이  조사결과  그  기록과  가구법이
               상이하여 원형을 되찾고자 재 복원하는 것이기 때문에 어떤 시점으로 돌려 복원한 결과물의 수정이라고
               보면 되겠다. 다만 현시점에서 복원의 의미를 조명하고자 과거의 복원과정을 부정하는 형태가 되어서는
               안된다고 생각된다. 1976년의 복원의 결과를‘ 가치  없다’ 또는‘ 잘 못했다’ 라고만 말하기는 어렵기 때
               문이다.‘ 1976년  당시만  해도  의궤의  번역본도  없던  상태였고  수원화성의  전체  복원설계가  약  6개월에

               이르는 짧은  시간에  수원화성의 전체  복원설계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의궤를 충분히  검토하기 어려웠고
               이로  인한  완벽한  복원이  쉽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라고만  설명하기  어려운  부분이  동북포루의 가
               구법에 많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보통 전통건축물의 가구법에는 보편적인 법칙이라는 것이 존재한다. 그
               러나  동북포루를 원형으로  복원하면서 일반적이지 않은  구조를 가지고 있는  가구법으로 인하여  발생하
               는 여러 문제점에 봉착하였으며 복원과정은 그러한 문제를 하나하나 풀어나가는 과정이었다. 다시 말해
               과거에 진행된 동북포루의 복원은 짧은  시간동안 완벽한 복원을 하지  못한 것이 아니라 구조적인 문제

               를  특이성이  아닌  보편성에  근거하여  해결하려  했던  부분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지금도  역사적인
               시간이  흘러가고  있고  그  시간들  안에서  1976년의  중건,  그리고  복원역사도  물러나고  있다.  그  시대의
               복원과정은 너무나  치열하고  열악한  가운데에서  이루어졌다.  그  시대의  노력을  폄하해서는  안  될  것이
               라 생각된다.



               동북포루 복원정비공사에 있어 원형에 다가가는 것은 정당한 복원 원칙과 타당성이라는 측면을 잘 정립
               하기  위하여  중요하다.  동북포루에서  건축물의‘ 복원’ 의  중요한  근거가  되는  원형이라고  하는  것은  3
                                                                                                1)
               가지 측면에서 설명된다. 1) 배치계획의 원형, 2) 가구법의 원형, 3) 부재의 원형이 그것이다.  문화재를
               원형이라고 할 때 가장 큰 의미를 가지는 것이 건물이 자리하는 위치를 말하는데 여기에 입지. 배치, 좌
               향 등이 배치계획의 가장 중요한 측면이라 할 수 있다. 여러 건물들이 위치하여 수원 화성이라는 큰 틀

               안에서 동북포루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배치계획에 의하여 그 의미가 확정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은
               화성성역의궤와 정리의궤 등 도설에 의하여 명확하게 남아있어 의심할 여지가 없는 부분이다.
               목가구를  기본으로 하여  기단부터 지붕까지  가구법의 형상에  의하여 기본적인  가구법이 확인되면 미확
               인  부재는  일반적  가정에  맡기고  복원이  가능하며,  그러한  복원을  통하여  공간형성과 시대정신의 가치

               가 구현될 수 있다고 본다. 의궤에는 부재의 형상이나 치수, 개수 등이 상세하게 기록되어있고 동북포루
               는  별칭을  통하여  그  가구법의  특이성이  완성되었다.  앞서  말한  배치계획의 원형은  가구법을  확인하기
               어려울  경우  복원자체가  불가하다.  가구법을  확인하여  건물이  그  자리에  세워졌을  때  배치계획  원형이
               확인된다.  마지막으로  부재의  원형이란  가구를  이루는  부재가  창건  당시의  부재이고  원래의  형태를  갖
               는가이다. 목조는 유한성을 가지고 있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교체를 필요로 하는 만큼 창건 초기의 부
               재를 꼭 유지하고 있어야한다는 것이 절대적으로 중요하지 않는 다는 것을 볼 때 영구적 고유성을 주장

               할 이유는 없다. 다만 원래 부재를 최대한 재사용하는 것이 문화재 보존의 원칙이다. 또한 문화재 보수
               보강은 부재 전체를 가는 행위일 경우 반드시 기록을 통하여 남겨져야 한다고 하고 있다. 1976년에 조성
               된  동북포루  또한  가치가  있다고  전제할  때  당시의  부재도  원형으로서의  가치가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부재들이 현재  복원과정에서 재사용하도록 한 것은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또한 이러한 부재


               1) 건축문화재 복원의 동향과 방향, 김성우, 연세대학교 교수




                                                                                                  -  293  -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