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6 - 제2권_Neat
P. 256

이 유상이기는 하나 소유권 자체를 분배한 것과 큰 차이가 있었다. 대부분 농민은 그러한 차이를 이
                  해하지 못하였기에, 무상으로 분배한다는 좌파의 주장은 상당히 그럴듯하게 들렸다. 이렇게 이승만

                  정부가 농지를 서둘러 분배한 덕분에 자신의 농지를 갖게 된 농민들은 6·25 한국전쟁 이후 북한의
                  선전 공세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의 국민으로 충실히 흔들림 없이 남아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농지개혁은 조선시대부터 식민지시기까지 내려온 지주제를 해체하였다. 농촌 사회를 지배
                  해온 지주계급은 농지개혁으로 완전히 해체되었다. 인구의 대부분을 이루던 소작농은 역사상 처음으

                  로 자기 농지를 소유한 자작농으로 변신하였다. 그에 따라 농민들의 생산 의욕이 북돋아져 전쟁의 혼
                  란이 어느 정도 수습된 이후 농업생산이 크게 늘기 시작하였다. 농지개혁으로 대다수의 농민이 자유

                  롭고 자립적인 경제주체로 성립하였다. 그에 따라 경제적으로 시장경제가 발전하고 정치적으로도 자
                  유민주주의가 성숙할 수 있는 토양이 마련되었다.

                    경기도지역 1943년 토지 소유 형태를 살펴보면 자작농 6.8%, 자작 겸 소작농 11.8%, 소작농 80.8%
                  였다. 1945년 해방 직후에는 자작농 7.3%, 자작 겸 소작농 11.2%, 소작 겸 자작농 14.5%, 소작농

                  65.5%였다. 경기도지역의 농촌은 조선인 지주보다는 일본인 지주 또는 농장 소유가 대부분이었다.
                  일본인들이 물러간 후 농민들은 좌파적 위원회나 농민조합에 의존하지 않았다. 일제강점기 동안 수

                  탈 속에 소규모 토지 환경의 농지조건으로 열약한 상태였지만 자체 내 계층적 속박이나 분열은 없었
                  다. 일본인과 조선농민이라는 전체 문제로 갈라져 있었고, 이제 일본 지주가 떠난 마당에 토지문제가

                  한꺼번에 해결되기를 원했다. 농지는 일제 소유에서 미군정의 소유가 되었다가, 한국인 소작농민의
                  소유로 넘어오게 되었다. 식민지의 농정 지주가 떠나자 미군정은 땅은 빼앗지 않는다는 생각을 공유

                  하였고 농지는 유상분배 조건이었으나 경작자였던 소작인의 소유로 넘겨졌다. 경기도의 농촌은 지가
                  가 높으면서 많은 생산성을 가졌으며, 인천항을 통하여 쌀 무역의 핵심 수탈구조의 배후지였다. 지주

                  역할을 하였던 식민통치의 정책당국자들이 토지를 버리고 귀국하자 토지는 그대로 소작인의 소유가
                  되었던 것이다.

                    해방 직후 오산지역은 행정적으로 수원군 오산면으로 교통요충지이기도 하면서 농촌도시였다. 오
                  산 인근의 7개 면(화성시 동탄면, 정남면, 하남면, 양감면, 평택시 서탄면, 진위면, 용인시 남사면)의

                  상업 중심지가 되면서 이 지역 중에서는 제일 큰 농촌도시였다. 1949년이 되면 수원군이 수원시와
                  화성군으로 분리되면서, 오산은 화성군에 속하게 되며, 훗날 화성군청소재지로 화성군의 중심지가

                  된다.
                    해방과 함께 오산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던 것은 교육 부분의 활성화였다. 일제로부터의 독립과

      오산시사        함께 새로운 시대의 이념인 민주주의에 입각한 교육을 실시한 것이다. 1945년 9월 17일 미군정은 일
                  반명령 제4호를 발령하여 9월 24일을 기해 공립국민학교에 수업을 개시하도록 지시하였다. 이때

                  1923년 4월 4일에 삼미의숙으로 개교하였던 삼미공립국민학교는 1945년 9월 24일에 외삼미리에 재
      제

      2           개교하게 되었다. 오산공립국민학교는 1945년 10월 2일 벌음리(현 벌음동)에 있던 일본아소학교를
      권
                  인수하여 가수리에 개교하였다. 이로써 오산에는 기존의 1913년 4월 1일 개교한 오산공립보통학교로
                  개교했던 성호공립국민학교, 1925년 4월 28일 개교하였던 광성학원은 1946년 6월 30일이 되면 삼미
    256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