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55 - 제5권
P. 355

그림 4, 5. 소득 계층별 비중 및 가계부채 추이

                              소득 계층별 비중 추이                                   가계부채 추이                             353

                     80.0            75.4           1990       1600     가계부채(조원)                   1,534.6        산업
                                        72.4                                                  1,450.8
                                                    2015                                  1,342.5
                                                               1400
                                                                                     1,203.1                      · 경제
                     60.0                                      1200         1,019.0  1,085.3
                                                                        963.8                                      /  보건
                                                               1000  916.2
                     40.0                                       800                                               · 환경위생

                                                                600
                                               17.5
                     20.0                         17.2          400
                             10.4
                           7.1                                  200                                               · 사회복지

                     0.0                                         0
                           저소득층       중산층       고소득층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중위소득의 50% 미만가구)  (중위소득의 50%~150%가구)  (중위소득의 150% 초과가구)                                  /  사법
                                                                       ※ 출처 : 통계청, 2인 이상 비농가, 처분가능소득 기준
                                                                                  ※ 출처 : 한국은행, 「가계신용동향」           · 치안


                    이와 같은 상황은 우리 사회의 통합을 약화시킴은 물론, 글로벌 경제여건 악화와 같은 갑작스런 위                                         · 소방

                  기가 도래할 경우 특히 서민층과 저소득층이 어려움에 직면할 가능성이 있어, 저소득층의 기본 생활                                           · 언론
                  을 보장함으로써 사회안전망의 사전예방장치를 강화하고 소득재분배를 통한 사회 통합을 실현해야

                  할 것이다.




                  3) 저출산·고령화 심화

                    우리나라는 2012년 6월 23일을 기점으로 인구 5천만 명을 돌파하여, 주요 선진국 중 7번째의 인구

                  규모를 갖게 되었다. 그러나 낮은 출산율과 빠른 고령화 진행 등으로 인해 향후 극심한 인구위기가
                  우려된다.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2005년 1.085명으로 최저치를 기록한 뒤, 2015년 1.24명, 2016년 1.17명,
                  2017년 1.05명으로 다시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초혼 연령이 계속 상승하는 등 출산 잠

                  재력이 높지 않은 사회로 변화하고 있어, 앞으로도 출산율의 상승은 매우 불투명한 상황이다.
                    한편 우리나라의 고령화 수준은 현재 OECD 국가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나, 2060년

                  경에는 고령화 수준이 매우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OECD 국가의 평균 고령화율은 16.8%(2017년 기
                  준)인데 비해, 2017년 기준 우리나라의 고령화율은 13.8%로 멕시코(6.8%), 터키(8.1%), 칠레(11.1%),

                  아일랜드(13.9%) 등과 함께 낮은 수준이다. 그러나 2060년이 되면 우리나라의 고령화율이 43.9%에
                  도달하여, 우리나라는 노인인구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가 될 전망이다.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