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9 - 오산문화 64호
P. 29
2017 VOL. 64 osan culture
브라케팅 촬영 우리가 현장에서 급하게 사진을 촬영하다 보면 적절한 노출 설정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카메라 기능 중 브라케팅 촬영이 있다. 브
라케팅 촬영은 노출과, 플래시 광량, 화이트밸런스 등을 달리해서 연속으로
촬영하는 방법이다. 하나의 장면을 브라케팅으로 연속 촬영한 결과물을 보고
촬영자는 적정한 노출이나 화이트밸런스의 사진 한 장을 선택하게 된다.
이 세 장의 사진은 독산성에서 바
라본 일출의 모습으로, 노출 보정
값을 좌측부터 -1, 0, +1로 1스톱
씩 3장의 사진을 연속 촬영하도록
설정했다. 노출 보정이 -1로 설정
한 좌측의 사진은 하늘과 태양의
모습이 선명하게 잡혔고, +1의 우
측 사진은 하늘의 모습을 흐릿하
지만 하단의 도시가 밝게 촬영되
었다. 서로 다른 노출 값으로 촬영
한 세 장의 사진 중 촬영자는 마
음에 드는 한 장의 사진을 고르면
된다.
최근 노출 브라케팅 촬영은 HDR
사진으로 발전하였다. 노출 브라케
팅 촬영으로 밝기가 각각 다른 사
진에서 필요한 부분의 데이터를 가 <노출 브라케팅으로 촬영한 독산성 일출 모습을 HDR 사진으로 완성하였다.>
져와, 하나의 사진으로 합성해 완
성시킬 수 있는데 이를 HDR 사진
이라 부른다.
지난 회에 이어 이번 회까지 사진의 기본인 노출에 대해 강의했다. 조금은 무거운 주제일
수 있는데 사진을 촬영하는 다양한 환경에서 적당한 밝기로 촬영자가 의도한 만족스러운
결과물을 얻기 위해 언젠가는 궁금증을 가지게 되는 내용들이다. 최근 DSLR, 미러리스,
하이앤드 카메라의 큰 경쟁자가 된 스마트폰 카메라에도 적용할 수 있는 기능들이니 알아
두면 더 좋은 사진을 얻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