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5 - 오산시역사문화
P. 55
1790년(정조 14년) 2월에 정조는 융릉(사도세자 릉) 원행 때에 서문을 통해 독산성
에 올라 운주당에서 아버지 사도세자의 경진년 사적을 살피게 된다. 이날 정조는
성안의 부로들을 부르고 무엇으로 생계를 이어가는지 물었으며, 또 성 안의 부로들
을 위로하고 명을 내려 승속(僧俗)과 나이를 불문하고 이들에게 특별히 경진년경숙
때보다 한 자급을 더해주고 성안의 민호마다 쌀포대를 지급하게 하였다. 장병들에
겐 승진과 시상을 하였다. 그리고 이 남문의 진남루에 올라 아버지 사도세자를 추
억하고 아버지의 위민정신을 기리고, 백성을 위한 위민정치를 실천하고자 다짐하던
곳이기도 하다. 이렇게 사도세자는 조선의 영명한 군주가 되어 자신을 찾아 온 아
들 정조를 이곳 독산성에서 영혼으로나마 부자 상봉을 하게 된 것이다. 정조는 이
곳에서 가슴에 맺힌 아버지에 대한 아린 한을 풀어내고 뜨거운 눈물을 흘리며 추념
했다 한다.
독산성 남문 진남루 터
독산성은 정조 때 수축을 다시 하고 공역을 시작할 때 토지신에게 올리는 고유제
를 지내도록 하였다. 정조는 고유제의 절차와 참여 인원까지 직접 지시하고, 고유문
을 직접 지었다. 수원부사를 헌관으로 삼고, 중군과 읍내 당상관을 지낸 조관(朝官)
을 아헌과 종헌으로 삼았다. 현재는 독산성문화제 때 약식으로 재현 시행해 오고
있다.
경기 남부 군사 행정의 중심지였던 독산성은 성 내에 수백호의 민가가 거주하는
생활공간이기도 하였고, 15개 건물에 167칸이 넘는 관청이 들어서 있던 곳이기도
하였다. 현재는 보적사, 세마대 2곳만 남아 있다.
현재 독산성은 복원을 위한 발굴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