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7 - 오산시역사문화
P. 57

보적사라는  이름에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한다.


                    “어느  옛날에  보릿고개로  끼니조차  잇기  어려운  노부부가  있었다한다.  먹을  것이
                  라고는  겨우  쌀  두되만이  남아  있었고  식량을  구할  방법도  없어  굶어  죽을  지경에
                  처하였다한다.  노부부는  밥  한술  먹고  며칠을  더  사느니  차라리  이  쌀을  부처님께

                  공양하여  좋은  일이라도  하고  죽자고  결심하였단다.  그리하여  쌀을  부처님께  바치
                  고  집에  돌아와  보니  비어있던  곳간에  쌀이  가득  차  있는  것이었다.  노부부는  이것
                  을  나한님의  신통력이라  여기고  더욱  치성을  올리게  되었고  이후로  보적사란  이름
                  이  붙었다는  전설이다.”


                    보적사는  남한산성의  장경사나  북한산성의  중흥사처럼  군진  속에  있는  사찰이다.

                  따라서  나라를  위해  헌신하는  군사들에게  부처님의  가호를  빌어  주는  등  사기앙양
                  에  기여했을  것이다.  향토사학자  임종삼은  독성려왕릉의  주인공으로  비정한  백제
                  제16대  진사왕의  원찰로  보기도  한다.  독산성에는  2천명이  넘는  군사가  배치되어
                  있었고,  이  가운데에는  승군(僧軍)도  포함되어  있었다.  임진왜란  이후  승려들이  성

                  을  지키는데  힘이  되는  정도가  혹  산성의  병정보다도  나을  때가  있음을  익히  알았
                  기  때문이다.
                    정조  이후  순조  연간  용주사와  마찬가지로  독산성에는  승군이  편재되어  있었다.
                  당시  승군은  103명으로  보적사  6명,  용주사  85명,  만의사  12명이  소속되어  있었다.
                  따라서  적어도  보적사에는  6명  이상의  승려가  상주하였음을  알  수  있다.  승군의  치
                  영으로서  보적사의  역할이  중요하였던  셈이다.  순조  연간인  19세기  독산성  성내

                  126호,  성외  127호가  살고  있었다.  이들의  신앙  공간으로서도  보적사는  존재  의미
                  가  있었던  셈이기도  하다.
                    보적사  약사전은  정조가  용주사를  건립할  당시에  재건되었다고  한다.  그러다가
                  1920년  주지였던  주대식스님이  약사전을  헐고  현재의  대웅전을  지었다고  한다.





























                                                           57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