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2 - 월간사진 2018년 8월호 Monthly Photography Aug 2018
P. 92

(166-172,174,176)카메라용어사전_ok_월간사진  2018-07-20  오후 3:01  페이지 170











                          20     미러업

                          SLR을 이용한 촬영 중 미러가 움직이면서 발생하는 미세한 흔들림
                          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이다. 이를 이용하면 셔터가 작동하기 직전
                          올라가는 미러를 미리 올려놓을 수 있다. 초망원, 접사, 장노출, 복사
                          등 흔들림에 특히 민감한 촬영을 할 때 사용한다. 또한 전통적인 설
                          계의 광각·어안렌즈를 장착할 때도 미러업 기능을 사용한다. 오늘
                          날에는 리트로포커스 타입의 설계로 문제가 되지 않지만, 과거의 광
                          각계열의 렌즈에서는 백포커스가 짧아 미러를 올려야만 장착할 수
                          있었다. 이 외에도 DSLR의 이미지센서에 붙은 먼지를 제거하고자               21     미러리스 카메라
                          할 때도 미러업 기능을 사용한다.
                                                                             일반적인 DSLR의 구조에 미러와 펜타프리즘을 제거해 휴대성을 높인 카메라
                                                                             다. 소·중형 DSLR의 이미지센서를 그대로 사용해 화질이 우수하고, 렌즈 교
                                                                             환도 가능해서 다양한 상황의 촬영을 커버한다. 구조적으로 동영상 촬영도 편
                                                                             리하다. 가격도 DSLR 대비 저렴한 편이다. 단, 거울과 펜타프리즘을 없앤 만
                                                                             큼 라이브뷰 또는 EVF 만으로 보며 촬영할 수밖에 없다. 대체로 셔터 랙이 길
                                                                             고 초점이 느려 기동성이 다소 떨어진다. 하지만 현재 대부분의 단점이 개선되
                                                                             어가고 있으므로 앞으로는 프로용 DSLR까지 대체할 것으로 예측된다.















                      22     반사식 카메라

                      렌즈를 통과한 빛을 45°로 설치된 거울을 통해 파                   23     반사광식 노출계
                      인더로 보내주는 형식의 카메라다. 여기서 거울은
                                                                     자동노출 카메라를 사용하더라도 늘 정확한 밝기로 촬영
                      파인더로 상을 보내고 볼록렌즈를 통과한 상의 상
                                                                     되지는 않는다. 이는 카메라에 내장된 반사광식 노출계의
                      하를 뒤집어 정립상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렌즈가
                                                                     특징 때문이다. 반사광식 노출계는 피사체에 반사된 빛의
                      한 개인 일안반사식(SLR)과 두 개인 이안반사식
                                                                     양(휘도)을 측정한다. 촬영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고 측정
                      (TLR)으로 구분된다.
                                                                     할 수 있어 편리하지만, 피사체의 색에 따른 반사율을 고
                                                                     려하지 않은 채 무조건 평균값인 18%로 해석하기 때문에
                                                                     정확성이 떨어진다. 별도로 휴대하며 들고 다녀야 하는
                                                                     ‘단독형’, 카메라에 빌트인되어 노출을 측정하고 자동노출
                                                                     기능을 구현하는 ‘내장형’으로 구분된다.







                                                               24     벨로우즈


                                                               대형카메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주름상자를 지칭하는 용어다. 이는
                                                               카메라 내부로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 길이나 형태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상거리를 바꾸어 초점을 조절하거나, 주름을
                                                               늘려 접사를 하기도 한다. 그밖에 자유로운 움직임이 필요한 무브먼트
                                                               를 적용할 때에도 사용된다. 소형이나 중형 SLR에서는 차광·접사 장치
                                                               로 이용된다. 일부 벨로우즈를 내장하고 있는 중형 TLR, SLR에서는 차
                                                               광·초점조절·접사 장치로 사용된다. 뷰식 대형카메라에서는 바디 자체
                                                               가 벨로우즈로 차광·초점조절·접사·무브먼트 장치로 사용된다.







                                                                     170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