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9 - 월간사진 2018년 8월호 Monthly Photography Aug 2018
P. 89
(166-172,174,176)카메라용어사전_ok_월간사진 2018-07-20 오후 3:01 페이지 167
1 AF 카메라
모터를 이용해 초점을 자동으로 잡아주는 기술(AutoFocus)을 구현한 카메라다. 기동
성이 상승하는 만큼 더 좋은 사진을 얻을 수 있는 확률이 높다. 적외선·초음파 등을 이
용해 거리를 측정하는 ‘액티브 방식’, 위상차·콘트라스트를 검출해 초점을 맞추는 ‘패
시브 방식’으로 구분된다. 오늘날 생산되는 대부분의 카메라는 빠른 속도를 자랑하는
패시브 방식이다. 그 중 DSLR과 같이 광학식 뷰파인더를 장착하고 있는 카메라는 위
상차를 검출하며, 속도가 더 빠르다. 미러리스처럼 라이브뷰를 응용하는 카메라는 콘
트라스트를 검출하며, 정밀도가 더 높다. 최근에는 미러리스 카메라에도 위상차 검출
식을 사용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적용되기도 한다.
2 X접점
DSLR을 사용할 때 셔터속도가 특정 구간을 넘어가면 3 TTL
플래시가 정상적으로 동조되지 않는다. 이 특정구간의 카메라 내장 노출계를 구현하는 기술이다. Through The Lens의 약어로 ‘렌즈를 통과
셔터속도(보통 1/125~1/250초 정도)를 보편적으로 한’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내부에 설치된 측광센서가 렌즈를 통과하는 빛을 이용해 노
X접점이라 한다. 그러나 엄밀히 플래시를 동조시키기 출을 측정한다. 덕분에 필터, 보조렌즈, 접사장치 등을 사용하더라도 정확한 노출을
위한 전기적인 접점을 뜻한다. X는 플래시의 방전관에 측정할 수 있다. 오늘날 시판되는 대부분의 자동노출 카메라에는 이보다 한 단계 더
사용되는 크세논(Xenon: 제논)의 약자다. 발전된 형태인 TTL 다이렉트 측광이 사용된다. 1/30,000초의 응답속도를 지녀 플래
시 노출도 측정할 수 있다.
4 거리계연동식 카메라
라이카 M시리즈가 거리계연동식 카메라의 대표적인 모델이다. ‘이중상합치식’
혹은 ‘RF(Range Finder) 카메라’라고도 한다. 뷰파인더로 들어오는 상과 거리계
와 연동된 레인지 파인더에 들어오는 상을 일치시키는 방법으로 초점을 확인할
수 있다. 파인더식 카메라에서 초점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구조다.
파인더식 카메라인 만큼 작고 가벼우며 촬영하면서도 피사체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단점도 파인더식 카메라와 같다. 시차가 발생해 구도의 오차
가 있고, 렌즈 교환 및 액세서리의 사용이 제한적이다. 또한 피사계심도 확인이
불가능하고, 원근감의 판단도 쉽지 않다.
5 고정초점식 카메라
일회용카메라와 같이 조리개 값의 변경이 불가능하며 과초점
거리에 초점이 고정되어 있는 형식의 카메라를 뜻한다. 일일이
초점을 맞추지 않아도 되어 편리하다. 대부분 광각렌즈에서
조리개를 적당히 조여 놓아 피사계심도가 깊다.
6 디지털카메라
과정이 단순한 만큼 선명도의 저하나 톤과 색의 손실이 적다. 이미지센서의 크기에
따라 초소형, 소형, 중형 포맷으로 분류한다. 중형에 화소수를 높이는 멀티샷, 스티치
기능 등을 탑재한 카메라를 더러 대형포맷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또한 형태에 따라 다크 슬라이드 7
DSLR, 미러리스, 콤팩트카메라 등으로도 구분한다.
중대형 필름카메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차광판이다. 필름 앞에 설치되
어홀더나 필름을 교환 할 때 필름에 빛이 닿아 생기는 포그 현상을 방
지한다. ‘칼’이라고도 한다. 중형카메라의 경우 다크 슬라이드를
반드시 제거해야만 셔터가 눌러지는 경우도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