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6 - 월간사진 2018년 2월호 Monthly Photography Feb 2018
P. 56

스페셜_최종_월간사진  2018-01-18  오후 4:40  페이지 1






               Special 4









               ‘사진’이라는 이름으로                                             동시대 미술 속 사진을 바라보며 갖게 된 궁금증이 있다. 사진은 왜 유
                                                                        독 ‘사진계’라는 말에 집착하는 것일까? 같은 시각 예술인데 ‘미술’과
                                                                        ‘사진’에서 거리감이 느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장르 간 경계가 허물
                                                                        어진 동시대 미술 속에서 사진은 스트레이트한 사진 그 자체로 생존할
                                                                        수 있을까? 이에 대한 궁금증을 조금이나마 해소하기 위해 동시대 미
                                                                        술 현장에서 ‘사진’과 ‘미술’을 구분 짓지 않고 활동 중인 큐레이터와 평
                                                                        론가 네 명에게 그들 생각을 물었다. 그들이 바라본 동시대 미술 속 사
                                                                        진의 오늘과 내일.  에디터 | 박이현 · 디자인 | 서바른













                                    Document


                                                 ‘기록’, 사진의 기본적인 속성

                                                 ‘사진계’라는 말에 집착한다기보다는, 아무래도 전반        개인적으로 현장에서 사진전시를 기획하고 진행하는
                                                 적인 ‘미술계’에 비해 ‘사진계’가 좁아서 그런 것 같다.    데 있어 가장 많이 듣는 질문이 “이게 사진이에요?”
                                                 오히려 미술계는 사진계의 작가, 즉 사진을 전공한 작       다. 사진이 태생적으로 기술의 발달로 나오기는 했지
                                                 가가 다양한 매체, 가령 회화나 설치, 영상 등과 같이      만, 현대 기술의 발달 -디지털 툴, 인쇄 방식, 염료 등
                                                 복합적으로 매체를 사용하는 데 있어 배타적인 것 같        과 같은 프로세스의 발달뿐만 아니라, 인쇄하는 재료
                                                 지는 않은데(극단적으로 표현한다면 무관심?), 사진        의 발달(가령 한지에 인쇄하면 수묵화보다 더 수묵화
                                                 계에서는 회화나 다른 매체 전공자가 사진작업을 하         같은 표현이 가능하다.) - 에 따라 현대사진이 어디까
                                                 는 것에 대해 소위 ‘미술’베이스 사진이라며 비판적인       지 무궁무진하게 변주되어 갈 수 있을지 개인적으로
                                                 시각으로 보는 경우가 많다.                     도 흥미롭게 생각한다.

                                                 실제로 타 매체 전공자가 본인이 표현하고자 하는 바        거창하게 한국사진의 위상이라기보다는 현장에서 일
                                                 를 사진 매체로 풀어낼 때 사진계 관계자, 평론가나 교      하는 한 사람으로서, 현재 동시대 한국 사진의 위치는
                                                 수들에게 부정적인 평론을 듣고 고민하는 경우를 본         일 년에 기획되는 수많은 전시들 가운데 ‘사진전’이 차
                                                 적이 있다. 현대미술에 있어 결국 중요한 것은 작가가       지하는 비중, 그리고 사진전문 미술관이나 갤러리들
                                                 표현하고자 하는 특정한 ‘주제’나 ‘콘셉트’이지 매체       의 운영 상황이 반증하는 것 같다. 현대 미술에 있어
                                                 가 중요한 것은 아닌가하는 의문을 가지게 되었다. 특       탈장르화는 더욱 심화되겠지만, 그 가운데에서도 사
                                                 히, 한국에서 사진을 전공하지 않고 외국에서 사진 공       진의 가장 기본적인 속성, 즉 ‘기록’적인 속성은 사라
                                                 부를 하고 온 작가들이 한국 사진계 내에서 느끼는 어       질 수 없기에 당연히 스트레이트한 사진들도 그 자체
                                                 려움들이 많다. 물론 ‘사진계’ 안에서 동시대 사진에       로 생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이러한 스
                                                 대해 고민하며 소통하는 것도 나름의 의미가 있겠지         트레이트한 사진들이 사진만의 고유의 속성을 유지하
                                                 만, 보다 다양한 영역의 작가군들과 교류하며 서로 상       면서 어떻게 대중과 소통할 수 있는가는 끊임없이 고
                                                 호간에 자극과 영향을 주고받아야 결국 동시대 모든 예       민해 보아야 할 과제일 것이다.
                                                 술이 함께 발전해 갈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 한혜원 (아트스페이스J 큐레이터) -






                                                                    084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