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8 - 월간사진 2018년 10월호 Monthly Photography Oct 2018
P. 88
(140-143)포토샵클래스_ok_월간사진 2018-09-19 오후 4:05 페이지 140
/ Photoshop Class /
책도 알려주지 않는 포토샵 기술 5
증명사진, 이제 집에서 찍는다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입사서류 등 살다 보면 여러 상황에서 증명사진이 필요하다. 그러나 사진관에서 촬영하는 증명사진이
한 번에 마음에 드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 마음에 쏙 들 때까지 촬영하고 보정할 수 있는 셀프 증명사진 완성 테크닉을 소개한다.
에디터 | 오찬석 · 디자인 | 이정우
Chapter 1 기초 작업하기 본격적인 증명사진 작업에 앞서 기초 작업을 해본다.
적절한 원본을 활용해 원하는 증명사진 규격으로 크롭하고 리터칭한다.
규격 확인하고 크롭하기
우리나라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증명사진 사이즈 규격에는 ‘반명함판’과 ‘여권판’이 있다. 반명함
판은 주민등록증, 입사서류에 부착하는 3 x 4cm 사진이다. 여권판은 여권이나 주민등록증, 운전면허
증 등에 사용할 수 있는 3.5 x 4.5cm 사진이다. 이 기사는 증명사진에 사용할 수 있는 반명함판을 기준
으로 작업한다. 먼저, 포토샵을 켜고 흰 배경에서 촬영한 정면사진을 오픈한다. 좌측 툴박스에서 크롭
툴( )을 선택하고, 상단 옵션바에서 3 : 4 비율로 세팅한다. 상반신 일부가 드러나고 얼굴이 좌우 중앙
에 위치하도록 크롭한다. 이 과정에서 수평수직도 맞춘다.
정면에서 촬영한 사진이 있다면, 크롭 툴을 이용해 반명함판 비율로 잘라낸다.
인물사진 리터칭
증명사진은 좌우 밸런스가 생명이다. 한쪽 어깨가 내려가 있거나, 고개가 한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라면 우선적으로 보정한다. 이때 사용하
는 기능은 상단 메뉴바의 [Filter]→[Liquify]다. 이 필터 내부에 있는 기능인 포워드 워프 툴( )을 이용해서 터치한다.
다음으로 신경 써야 할 부분은 라이팅이다. 집에서 증명사진을 촬영하는 만큼 조명을 제대로 갖추어 놓고 촬영했을 리가 만무하다. 그나마
예제 사진은 휴대용 스트로보를 낮은 천장에 바운스해서 촬영한 것이다. 덕분에 나름 콘트라스트가 부드럽고 머리 디테일이 잘 표현되었다.
하지만 얼굴이 다소 번들거려 보이고 목 아래 그림자 역시 신경이 쓰인다. 이를 보정하기 위한 여러 효과적인 프로세스들이 있지만, 가장 쉬
운 방법은 번 툴( )과 닷지 툴( )이다. 번 툴( )의 Range를 Highlights로, Exposure를 3%로 세팅해 번들거림을 터치한다. 닷지 툴( )
의 Range를 Midtones으로, Exposure를 20%로 세팅해 그림자와 다크 서클을 터치한다. 또한 닷지 툴( )의 Range를 Highlights로, Ex-
posure를 5%로 세팅한 후 눈동자를 터치해 눈의 콘트라스트를 더욱 강하게 만든다.
필요시 리터칭을 추가로 진행한다. 예제 사진의 경우 스폿 힐링 브러시 툴( )을 이용해 피부의 잡티와 주름을 보정했다. 눈을 키울 수도, 입
술 색을 더욱 진하게 만들 수도 있겠다. 이후 만들어지는 레이어는 [Ctrl]+[Shift]+[E]를 눌러서 모두 합친다. 원본 유지를 위해 스마트오브젝
트로 만들어도 괜찮다. 이렇게 합쳐진 레이어의 이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IMG'로 설정했다.
번과 닷지 툴을 이용해 부드러운 라이팅을 연출하
고 잡티를 제거한다.
어떤 사진이 적합할까?
집에서 증명사진을 촬영할 때는 흰색 배경에서 어두운 색의 옷을 입는 게 좋다. 그래야 히스토그램 가장 우측의 디테일을 삭제해 배경
을 순백으로 만들기가 편하다. 또한 배경과 피사체의 콘트라스트가 명확해져 배경을 합성하기도 좋다. 만약 흰 배경보다 밝은 옷을 입
는다면 펜 툴을 이용해 일일이 따내는 수밖에 없다. 렌즈는 왜곡이 가장 적은 준망원이 유리하고, 조리개는 깊은 심도가 충분히 확보되
는 수준으로 세팅해야 한다. 촬영할 때 인물과 배경 사이의 거리를 1미터 이상 두는 게 좋다. 그 간격이 가까울수록 배경에 그림자가 생
길 확률이 높다. 또 반듯한 자세로 렌즈를 정면 응시하는 사진이어야 한다. 촬영자는 ‘모델의 좌우 어깨 높이가 일정한지, 턱을 치켜들지
않았는지, 얼굴이 렌즈의 정면을 바라보고 있는지, 고개를 갸우뚱하지 않은지’ 등을 체크해야 한다. 이때 옷매무새도 단정하게 매만진
다. 또한 증명사진은 용도에 따라 요구하는 규정이 세세하게 다르니, 촬영 전 이를 꼭 확인하도록 한다.
증명사진용으로 적당한 예.
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