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5 - 데이터과학 무엇을 하는가? 전자책
P. 95

다고 하자. 이를 기준으로 실제 데이터도 그러한지 데이터에 대한  색
                     적 분석도  저히 진행해야 하는 것이다.

                        색적으로 데이터를 파 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차이, 변화, 반복,

                     주기, 구조 등을 고려해서 기본 통계치를 계산해 비교 평가해 본다. 기업

                     이라면 이것들을 고객, 채널, 마케팅, 자재, 인력 관리 부서 등 기업 내 각
                     영역에 적용하고, 정부기관이라면 기관의 각 부처에 맞게 교통, 복지, 보

                     건, 교육, 안전 등 다양한 영역에서 과거 경험을 기준으로 현황을 파 하

                     여 문제점이나 개선할 점을 찾아 새로운 발전 방향을 연구한다.

                       분석 주제 선정 과정에서 또 한 가지 고려할 사항은 세부적인 시점에
                     대한 판단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과거, 현재, 미래 중 어느 시점에 대한

                     분석을 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심도 있

                     는 연구와 분석을 하다 보면 문제를 발견하거나 문제의 원인을 찾아

                     수도 있다. 문제와 원인이 정확히 파 되면 그에 대한 대책을 세우는 것
                     은 수월해질 것이다.

                       분석 주제 선정 과정의 마지막 단계는, 어 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분석의 중요성, 시급성, 난이도, 적당한 품질의 데

                     이터 존재 여부, 비용 등을 고려하여 분석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이다. 특
                     히 믿을 수 있는 품질의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그 데이터를 적당한 시기에

                     입수할 수 있는지 등은 실제 분석 작업에 들어가기 전에 충분히 검토해야

                     한다.








                                                                                  93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