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5 - 20190518
P. 85
(5) 2015 개정교육과정과 IB 교육과정의 평가체계 비교: 창의교육 실현을 위한 핵심역량 평가의
적용과 시사점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창의적 융합형 인재’를 제시하고 네 가지 인간상과 여섯 가지 핵심역량도 발표했
지만 주입식, 암기식, 객관식 교육 및 평가 등 교육현장에 연계하여 적용되어지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예를 들
면 우리나라의 대학입시인 내신과 수능은 학생이 얼마나 많이 알고 있는가를 묻는다. 하지만 IB는 지식과 사고
과정을 어떻게 재구성하는지를 본다. 이에 따라 창의교육의 실현을 위한 대안으로 제주도 교육청, 대구시 교육
청, 충남 교육청 등이 IB 교육과정 도입을 시도하고 있다.
IB 교육과정은 단순히 지식만 주입하기 보다는 개념을 이해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학생들은 탐구중심의 수업
과 자기 주도적 문제 해결능력을 길러나가고 학교에서 배운 것을 실생활에 적용시켜보며 지식, 기술을 사회의
여러 방면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토론과 논술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수업을 통해 창의력과 사고력, 문
제해결력을 기를 수 있다. 스스로 주제를 찾아 연구하고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심으로 평가함으로써 계획-수업-
평가-기록의 연계성을 구축할 수 있다.
IB 평가는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증거를 수집, 분석, 반영 및 실천하는 과정이다. 교사와 학생들이 협력하여
학습을 모니터하고, 문서화하고, 측정하고, 보고하고, 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학생들은 학습에 대한 평가와 반
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동료 및 교사의 피드백을 바탕으로 학습의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이처럼 IB 교육과
정은 학습 과정과 학습 성과 모두 평가된다.
IB 교육과정은 2015 개정교육과정이 지향하는 학생중심 참여수업과 과정중심 수행평가로서의 특징을 잘 보여
주고 있다. 특히, 2015 개정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역량중심수업의 개념과 실제를 구현하는 모델로서 창의교육
실현을 위한 좋은 예시가 될 수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기하고 있는 창의수업을 위한 역량중심평가를
중심으로 IB 평가체계가 가지는 의의와 시사점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역량중심교육은 개별 교과의 지식 전달을 위주로 하는 기존 교육방식이 21세기 지식정보화시대에 필요한 창
의·융합적 역량을 뒷받침하는 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고 있다. 성인이 될 학생에게 필요
한 지식, 기술, 가치 및 태도를 규명하며, 교육과정에서 역량에 기반이 되는 지식, 기술, 가치 및 태도를 어떻게
키울 수 있을 지를 탐색한다.
IB교육과정에서 역량중심교육은 학생이 자신의 삶에 주어진 여러 가지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성공적
으로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기능, 가치 및 태도를 교육하고, 자기에게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제
공함으로써 학생의 사회적 삶을 대비시키는 교육을 의미한다. 여기서 말하는 역량은 지식, 기술, 가치, 태도 등
을 포함하는 총체적인 개념으로 정의되고 있다. 역량중심교육에서의 평가는 학생의 역량을 성장시키는 평가로
인지적 학습의 결과뿐 아니라 가치, 태도 등과 같은 정의적 영역의 평가가 실시된다.
IB 교육과정에서는 모두 5가지의 핵심역량(Approach to learning: ATL)을 설정하고 있다. IB 교육과정의 핵
심역량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항목을 비교하여 보면 다음과 같이 많은 유사점을 발견할 수 있다.
아래에 제시된 표를 보면 핵심역량 항목에서 심미적감성역량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은 대부분 일치한다. 창의
교육에서 중점을 두고 있는 창의적사고역량은 IB 교육과정에서는 사고역량(Think skills)의 하위항목인 창의적
사고(Creative Thinking)와 창의성과 혁신(Creativity and Innovation)에 속하며 비판적 사고역량(Critical
Think)와 융합적 사고역량(Transfer)과 함께 다루어지고 있다는 분류상의 작은 차이점을 제외하면 대체로 유사
한 항목들을 포함하고 있다.
<표6> 2015개정교육과정 핵심역량과 IB 교육과정 핵심역량 비교
2015 개정 IB 핵심역량 하위항목(PYP) 하위 항목(MYP)
교육과정 Approach to Primary Years Program Middle Years Program
핵심역량 learning : ATL 초등교육 프로그램 중등교육 프로그램
Exchanging Information
의사소통역량
의사소통 Communication 정보교환 I Communication
역량 Literacy 문자해독 의사소통
Skills
ICT 정보통신기술
공동체 역량 Positive Interpersonal II Collaboration 협력
76 77
55
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