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7 - 20190518
P. 87
Relationships and
Collaboration
공동체 역량 긍정적인 대인 관계 및 협력
Social Skills
Social-emotional
Intelligence
사회적 정서적 지능
자기관리역량 Organizing 관리 III Organization 관리
자기 관리 Self
역량 Management States of Mind 마음의 상태 IV Affective 배려
Skills V Reflection 성찰
Information Literacy VI Information Literacy
정보 활용 정보처리
지식 정보 정보활용역량 Media-literacy 매체 활용
처리 역량 Research Skills Ethical Use of VII Media Literacy
Media/Information 매체 사용
매체, 정보의 윤리적 사용
Critical Thinking VIII Critical Thinking
창의적 사고 비판적 사고 비판적 사고
역량 Creative Thinking IX Creativity and Innovation
사고역량 창의적 사고 창조와 혁신
Thinking Skills
심미적 감성 Transfer 융합
역량 Reflection/Metacognitive X Transfer 융합
Skills 성찰/초인지역량
1. 평가 내용 : 핵심 역량 평가 항목과 평가 기준
IB 핵심역량은 각 항목별로 세부적인 기준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5가지 핵심역량이 제시하는 자
세한 구성요소는 평가 내용과 특성에 맞게 선택적으로 적용되며 다음과 같다.
1. 의사소통 역량 Communication Skills
Exchanging thoughts, messages and information effectively through interaction
상호작용을 통해 생각, 메시지, 정보를 효과적으로 교환하기
• Give and receive meaningful feedback 의미 있는 피드백 주고받기
How can • Use intercultural understanding to interpret communication 의사소통을 위해 문화 간 이해 활용하기
students • Use a variety of speaking techniques to communicate with a variety of
communicate audiences 다양한 말하기 구사력을 통해 다양한 청중과 의사소통하기
through • Use appropriate forms of writing for different purposes and audiences 독자와
interaction? 목적에 맞는 글쓰기 형식 구사하기
• Use a variety of media to communicate with a range of audiences 다양한 청
중과 의사소통하기 위해 다양한 매체 사용하기
학생들은
어떻게 • Interpret and use effectively modes of non-verbal communication 비언어적
의사소통 방식을 효과적으로 구사하기
상호작용을 • Negotiate ideas and knowledge with peers and teachers 교사 또는 동료 학생
통해 과 생각과 지식을 협상하기
의사소통할 수 • Participate in, and contribute to, digital social media networks 디지털 소셜 미
있는가? 디어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기여하기
• Collaborate with peers and experts using a variety of digital environments
and media 다양한 디지털 매체와 환경을 활용하여 동료 학생들과 협력하기
78 79
55
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