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6 - Interview Book(KOR)-2025-01
P. 106

l  소송을 통해 프로그램 공개를 요구했으나, 법적 절차에서 거부되며 조작 입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4. 시민 단체와 국제 지원의 중요성

                   l  민경욱 전 국회의원을 중심으로 여러 시민 단체가 선거 부정을 밝히기 위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l  국제적인 압박과 감시 기구의 참여를 통해 선거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부정 선거를
                      방지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l  시민 단체의 지속적인 활동과 국제적 연대는 문제 해결의 핵심 요소로 강조되었다.



               5. 해결 방안과 선거 투명성 강화


                   l  투표 기계의 소프트웨어를 공개하고 독립적인 감시 기구를 통해 투명성을 확보해야
                      한다.

                   l  사전 투표 용지 발급기와 투표 과정을 철저히 감시하고,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과
                      CCTV를 활용해야 한다.

                   l  법적 제도를 강화하여 선거관리위원회의 독립성을 보장하고, 법원이 공정한 심리를
                      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결론:

                  2020년 총선과 2022년 대선에서의 부정 선거 증거는 민주주의의 근간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투표 기계의 투명성과 보안 강화, 독립적인 감시 시스템

                  도입, 국제적인 지원을 통한 해결 방안이 제시되었다. 대한민국이 공정하고 신뢰받는
                  민주주의 국가로 거듭나기 위해 적극적인 노력과 체계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김진희 부방대 전북위원장 인터뷰 대화록

                                                                                          Grant Newsham:
                안녕하세요, 김진희 씨. 오늘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먼저, 지난 2020년 총선과
                      2022년 대선에서 발생한 선거 부정에 대해 많은 연구를 하셨다고 들었습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증거와 분석 결과에 대해 설명해 주실 수 있을까요?

               김진희:
               안녕하세요, 그랜트 씨. 초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2020년 총선과 2022년

               대선에서 선거 부정이 발생했다는 증거를 발견하고 연구해왔습니다. 특히, 사전 투표와
               당일 투표 과정에서의 조작 사례를 집중적으로 조사했습니다.

                                                          -86-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