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9 - 2025년 4월전시가이드
P. 99
전시일정 및 자료는 crart1004@hanmail.net 문의 010-6313-2747 (이문자 편집장)
너와 나, 우리를 잇는전 | 3. 11 – 5. 25 윤여름 개인전 | 4. 8 – 4. 20
천안시립미술관 | T.1566-0155 김선 초대전 | 4. 16 – 5. 6 하랑갤러리 | T.02-365-9545
가온갤러리 | T.010-3763-5271
도공(陶工)의 마음 결을 평면 회화로 표현하기 위해 물성과 일체 된 십여
년의 시간을 보냈기 때문이다. 나의 달항아리는 달처럼 둥글어지는, 달항
아리와 하나 되는 물아일체(物我一體)적 감각이다.
가상공간에서의 정보 선택 과정에서 형 윤여름 작가는 '오래 남은 빛'이라는 주
성된 알고리즘은 개인의 기호나 취향에 제로 푸른 그늘 사이 빛의 대비로 삶의
맞는 정보만을 제공하면서 객관적 또는 모든 굴곡은 그 자체로 아름다운 것임을
능동적 접근을 가로막아 편향된 정보에 긍정하는 시선을 통해, 각자의 빛나는 날
노출될 가능성도 커진 상황이다. 의 조각들을 돌아보기를 기대한다.
모든 드로잉전 | 3. 18 – 4. 19 김재용 개인전 | 2. 26 – 4. 5
청문당 | T.053-320-5123 학고재 | T.02-720-1524
김병종 초대전 | 4. 3 – 4. 6
부산벡스코(KMJ갤러리No.06) | T.010-5664-5523
청문당에서 열리는 이번 전시는 창작의 김재용은 도넛 모양의 조각을 제작하고,
첫 단계인 드로잉에 집중하며, 청년 작가 생명의 노래’ 시리즈는 먹과 채색, 여백의 미로 자연과 삶을 관조하며, 한국 그 위에 다채로운 스프링클을 얹어 작품
들이 개성 있는 작품을 통해 감정과 생각 화 전통과 현대적 조형성을 조화시킨다. 문학적 감성과 철학적 깊이를 담 을 완성한다. 그의 대표작인 〈도넛〉 연작
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관객과 작품을 아 생명의 기록으로서 재해석한다 은 도넛 형상의 단순함 너머 시각적으로
공유하는 소중한 기회를 제공한다. 강렬한 즐거움을 선사한다.
박상혁, 임성수, 한충석전 | 2. 4 – 4. 20 Well Green Life전 | 3. 12 – 4. 5
청주오창전시관 | T.043-201-0957 헤드비갤러리 | T.031-629-9998
《예술의 방식 : 우리가 말하는 것》은 이 관람을 위한 작품이 아닌 작품들로 구성
복잡한 시대에 묵묵하게 또 경쾌하게 자 된 헤드비갤러리의 전시를 통해 환경에
신만의 작업을 하면서 예술의 삶을 추구 대해 다시금 생각하고 이를 위해 사회의
하는 박상혁, 임성수, 한충석 작가의 작 구성원으로서 할 수 있는 일에 대해 고민
품을 보여주고자 한다. 해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박스 프리뷰 5만원 매월 22일까지 접수 마감
김용철 개인전 | 4. 9 – 4. 30 박경률 개인전 | 3. 7 – 4. 26 조윤정, 박선주 2인전 | 3. 25 – 4. 6 Echo : 관계의 울림전 | 2. 12 – 4. 27
최정아 갤러리 | T.02-540-5584 페리지갤러리 | T.070-4676-7091 하랑갤러리 | T.02-365-9545 화이트블럭 | T.031-942-4400
1970년대 “포토-페인팅”부터 2025년 “ 박경률은 회화의 역사를 통해 구축되어 자연은 항상 변함없이 그 자리에 그대로 드로잉은 회화의 근원적 행위이자 결과
모란”까지, 한국미술사 격변의 시절 속 온 방법론을 되짚어보면서 본인에게 흡 있는 것으로, 계절의 흐름과 시간의 변화 물이며 창작의 토대를 이루는 필수적인
에서 특유의 방법론이 구축되고 변화하 수되어 체화된 방식을 하나씩 들추어내 속에 유기적 생명체들이 보여주는 다양 영역으로 그 개념과 방법이 무한대로 변
는 과정을 보여준다. 말과 민속적 소재, 어 무의식적으로 대상을 재현하거나 화 한 변화를 경험하며 받은 느낌은 '변주' 주되는 상황에서도 여전히 가장 기본이
키치스런 색감 등 독특한 특징을 가졌다. 면을 조화롭게 구성한다. 라는 고유한 작업세계로 드러난다. 되는 매체로 역할하고 있다.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