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6 - 2025년 4월전시가이드
P. 96

여운혜전 | 24. 12. 17 – 8. 17                                              김덕용 개인전 | 3. 13 – 5. 20
        서울시립북서울관 | T.02-2124-5201    권용자_판화의 색다른 표현전 | 4. 8 – 5. 6             소울아트스페이스 | T.051-731-5878
                                           청풍갤러리 2F | T.033-642-1451
                                 권용자의 작품은 단순히 시각적 아름다움을 넘어 현대 판화에서 추구하는
                                 확장된 개념과 맞닿아 있다. 전통적인 판화 기법을 넘어서는 실험적이고
                                 창의적인 접근을 통해 감정적이고 철학적인 경험을 제공한다.



        여운혜 작가는 도시의 일상에서 쉽게 만                                                  김덕용 작가는 오랜 세월을 품은 단청에
        날 수 있는 버려지거나 방치된 존재들을                                                  서 영감을 받아 우주와 생명의 순환으로
        다시 살피며 자신만의 위트있는 실천을                                                   확장된다. 그는 정체성과 기억을 사색하
        이어가는 여운혜 작가를 초대해 대규모                                                   며, 자연과 재료 속에서 가치와 아름다움
        신작을 선보인다.                                                              을 발견해 나간다.
        초현실주의의 새로운 지평전 | 3. 8 – 5. 3                                           오늘의 시선전 | 3. 11 – 4. 25
        선화랑 | T.02-734-5839                                                    수창청춘맨숀 | T.053-430-5681





                                           정영희 개인전 | 4. 8 – 5. 6
                                            청풍갤러리 | T.033-642-1451
        AI 아트 그룹 Obvious, 한국 첫 전시로   <There>는 지나온 삶의 지층이며, 삶의 흔적과 관계를 담는다. 일상의 조  리아트 프로젝트1부로 ‘과거의 것(옛사
        1924년 앙드레 브르통의 『초현실주의 선                                                물, 건축, 전통)’을 현대적인 시각으로 재
                                 각과 순간들이 시공을 넘나들며 혼재되고, 사물과 나, 과거·현재·미래의 나
        언』 100주년을 기념하며, AI와 MRI 기술                                             해석하여 다양한 장르의 예술로 선보인
                                 를 연결하는 흔적이 된다.
        을 활용해 초현실주의의 본질을 현대적                                                   다. 예술가들이 과거의 요소를 어떠한 방
        시각으로 재해석 한다.                                                           식으로 해석하고 탐색하고자 한다.
        또 다른 능력전 | 3. 14 – 4. 23                                               최재석 초대전 | 4. 26 – 5. 8
        성남아트808갤러리 | T.031-783-8149                                            슈갤러리 | T.010-7139-5140









        <This  ability  :  또  다른  능력>은  장애                                     무수한 선들이 다양하게 공간을 구성하
        (Disability)를  단순히  극복의  대상이나                                          고, 확장 가능한지를 고민한다. 전시 주
        한계로  바라보는  기존의  시각에서  벗                                                제를 ‘실험’ 이라고 한 것은, 전시로 작품
        어나,  장애예술인  개인의  고유한  능력                                               이 완성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암시하기
        (Ability)에 주목한다.               박스 프리뷰 5만원 매월 22일까지 접수 마감               위해서다.

        박소영 초대전 | 4. 9 – 4. 20   미음완보 전통정원을 거닐다전 | 2. 24 – 4. 27  백남준 팩토리 아카이브 | 3. 5 – 4. 27  문수만 개인전 | 3. 12 – 5. 12
        세종뮤지엄 | T.02-3408-4162  세종미술관 | T.02-399-1167  세종미술관 | T.02-399-1167   Art Therapy Studio Femiosis | T.010-5116-4859









        작가는 겸재의 진경 산수를 인용함으로    ‘미음완보, 전통정원을 거닐다’는 세종문  1983년  백남준과의  만남을  시작으로  고요 속에서 움직임을, 정지된 순간 속
        써 현실에 대한 기표를 가져오는 것과 동  화회관과  국가유산청이  공동  주최하는  1990년대 후반까지 미국 신시내티에서  에서  흐름을  발견하다.  Femiosis  Art
        시에 겸재가 실경들을 찾아 산과 들을 거  전시로, 국가유산청이 그간 확보한 전통  작품 제작을 조력했던 수석 디자이너 겸  Therapy Studio에서 문수만 작가의 초
        닐며  느꼈을  자연에  대한  감각의  기표  조경 디지털 정밀실측 데이터를 활용하  테크니션  마크  팻츠폴(Mark  Patsfall,  대전 「정중동 Motion in Stillness 靜中
        를 중의적으로 가져오고자 했을 것이다.   여 제작하였다.               1949)의 소장품 일부를 소개한다.    動」을 선보인다.



        94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