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5 - 전시가이드 2023년 04월 이북
P. 85
전시일정 및 자료는 crart1004@hanmail.net 문의 010-6313-2747 (이문자 편집장)
바이런 킴전 | 3. 17 – 4. 23 One Picture Manifesto전 | 3. 15 – 4. 16
국제갤러리부산 | T.051-758-2239 신홍직 초대전 | 4. 19 – 4. 25 더레퍼런스 | T.070-4150-3105
갤러리 바움 | T.02-720-4237
신홍직 작가는 대상을 단순히 화폭에 재현해 내는 것이 아니라 사실성과
추상성을 바탕으로 원색으로 그려낸 대상에 생명력을 불어넣은 것으로 유
명하다. 다채롭고 화려한 원색의 그림은 생동하는 기운을 뿜어낸다.
바이런 킴의 신작 역시 장소와 신체적 현 "한 장의 사진은 예술 작품이다"라는 선
존의 접합점을 탐구한다. 〈B.Q.O.〉라는 언문을 지표로 한 장의 사진은 그 자체
연작 제목은 바다를 배경으로 하는 유명 로 완전성을 갖고 관객 앞에 선다. 작품
소설의 세 주인공 이름에서 따온 알파벳 에 대한 긴 설명글이나 연계되는 작품을
으로 구성된다. 함께 배치하지 않는다.
2023 금호영아티스트 1부 | 3. 17 – 4. 23 CEVIGA전 | 3. 2 – 4. 15
금호미술관 | T.02-720-5114 더페이지갤러리 | T.02-3447-0049
심성규 개인전 | 4. 8 – 5. 31
뮤직포레스트 | T.031-882-9555
2004년부터 총 89명의 젊은 작가를 선 세비가 작가의 강렬한 추상화와 조각을
정하여 개인전 개최를 지원해 오고 있다. 음악이 가득한 집 – 동행하며 늘 내옆에 있어주며 언제나 함께 동행하며 함께 선보이는 이번전시에서는 2022 베
제20회 금호영아티스트 공모에서 선정 아름답게 살아가고 살아가면서 함께 살아가는 내가 되고 늘 동행하며 힘들 니스 비엔날레에서 팬데믹을 투영한 작
된 작가중 1부에서는 작가 김원진, 정영 때는 쉬어가고 또 쉬어가는 쉼터가 되고 ‘동행의 삶’이 된다. 품을 선보인 이후 새로운 차원의 상승파
호, 조재의 작품을 선보인다. 동이 가득한 신작 40여점을 공개한다.
한미연 개인전 | 4. 5 – 4. 15 이은희 개인전 | 3. 8 – 4. 5
나인원갤러리 | T.02-733-1665 두산갤러리 | T.02-708-5050
장식장 안에, 테이블 위에 놓여 있는 잡 이은희는 영상을 주매체로 이번 전시에
다한 사물들은 사실과 감정을 간직하고 서는 다채널 영상 설치를 포함한 4점의
내 안에 추억으로 들어온다. 행복했던 순 신작을 선보이며, 스트레스가 계측되고
간들을 추억하고 새로운 시간을 맞이하 가해지는 산업 현장을 통해 개인과 사회
면서 내일을 다시 엮어간다. 의 안전과 피로에 대해 성찰한다.
박스 프리뷰 5만원 매월 22일까지 접수 마감
만남전 | 4. 4 – 4. 11 황정빈 개인전 | 3. 20 – 4. 30 박세옥 서양화전 | 4. 4 – 4. 9 최지원 개인전 | 3. 3 – 4. 8
남산갤러리 | T.02-6911-0141 NAEOE BAR | T.0507-1498-2042 대백프라자갤러리 | T.053-420-8015 디스위켄드룸 | T.070-8868-9120
예산 이제일과 예홍 이인숙은 남매 작가 작품들의 모티브인 '친칠라'오브제를 통 들판이 숨 쉰다. 들판의 숨은 어느새 화 작가가 만들어 낸 크고 작은 방에 수집된
로 도자기와 서양화의 작품을 함께 전시 해 영감 받은 칵테일과 음악 등 감각적 가의 마음에 들어 꽃으로 피는가 하더니 것들의 의미를 좇는다. 그는 종종 자신의
한다. 동양과 서양의 만남처럼 같음과 다 요소 간의 소통으로 작품 전시의 경험을 작업실 한켠에 자리 잡는다. 캔버스를 오 방안에 가만히 놓인 장식품, 도자 인형,
름으로, 입체와 평면의 조화가 특별함으 극적으로 확장하고 일상의 긍정적이고 가는 붓끝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오갔을 오래된 새집 모양의 시계, 창틀에 말라
로 새봄을 맞이한다. 밝은 경험을 엿볼 수 있다. 들판이 있다. 떨어져 있는 곤충을 바라본다.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