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0 - 2019년12월전시가이드이북보기
P. 60

정물화의 유혹전 | 9. 28 – 12. 18  장 보고시안전 | 11. 29 – 20. 5. 31  이상원 개인전 | 9. 4 – 12. 29  이선경 조각전 | 12. 18 – 12. 28
        오승우미술관 | T.061-450-5482  우양미술관 | T.054-745-7075  이상원미술관 | T.033-255-9001  장은선갤러리 | T.02-730-3533









        대상에 몰입하며 화가주체의 시선과 감    ‘불(꽃)’을 사용하여  형되는 재료의 모습,  20여 종류 이상의 연작 작품을 제작하였  철로 만들어진 화분모양의 공간에 풍선
        각으로 들어가 자신의 의식과 무의식, 감  발생되는 연기와 재, 타버린 구멍, 우연  다. 동해인 연작은 한국의 인물을 그린  이 연상되는 꽃을 꽂아 저마다의 꿈을 갖
        정을 투사시키고 새로운 의미를 덧입혀    히 발생되는 색의 변화 등 작가의 실험적  것으로 ‘동해인’이라는 제목은 인물화를  고 발산하는 형태이다. 차가운 느낌의 화
        서 시선을 낚아채고 응시의 그물망으로  화염 액션으로 창작된 직, 간접적인 결과   그리기 시작할 때 선택한 대상이 동해 바  분이라는 작은 세상에 꿈과 소망을 담아
        묶는 유혹의 세계로 들어가 보자.      물을 보여주고자 한다.           닷가의 어부였기 때문에 붙여졌다.      름다운 세상을 만들어간다.
        윤석남 개인전 | 11. 7 – 12. 21  Symbol of Abstraction전 | 11. 1 – 12. 25  뜰에 깃들전 | 12. 10 – 12. 27  황윤경 조각전 | 12. 18 – 12. 28
        OCI미술관 | T.02-734-0440  유경미술관 | T.055-632-0670   이유진갤러리 | T.02-542-4964  장은선갤러리 | T.02-730-3533








        얼굴들에 주름진 피부와 희끗희끗한 머    ‘원시주의’에 바탕을 두고 모더니즘과 심  23인의 그룹전으로 ‘뜰’에 나서면 볼 수  폐허가 되거나 버려지고 부서진 건물들
        리칼에서 세월의 흔적이 엿보인다. 작가   플함을 가미한 작품들은 인간의 정체성   있는 사물과 식물, 동물 또는 자연현상  의 흔적들을 모티브로 삼아 인간들의 삶
        는 이들을 자신의 ‘벗’이라 부른다. 친구  과 영속성을 추상적이고 비유적으로 표  등 다양한 요소들을 작가 개인의 개성에  의 모습 속에 각기 다른 다양한 감정적
        이자 조력자이자 함께 살아가는 이들, 하  현한 작품 감상을 통해 심미적 만족을 채  따라 해석해본 120 여 점의 다양한 작품  상처들을 건물의 외벽으로 활용되는 시
        나같이 당당하고 멋진 여성들이다.      우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들을 만나볼 수 있다.            멘트로 표현하고자 한다.
        최주연 개인전 | 11. 15 – 12. 12  소정미전 | 11. 1 – 12. 25  박윤영 전 | 10. 18 – 20. 1. 12  강혁 개인전 | 11. 25 – 12. 6
        오재미동갤러리 | T.02-777-.0421  유경미술관 | T.055-632-0670  일민미술관 | T.02-2020-2055  제물포갤러리 | T.010-3288-9671









        가까이 있어 만질 수 있는 것들. 만질 수  꽃은 작가가 자신에게 주는 선물이자 타  체르노빌, 후쿠시마에서 발생한 대규모  이중적인 예술적 변주들의 조합은 가장
        있어 보이는 것들. 보이는 것의 깊이는  인과 소통의 소리를 담은 매개체이다. 세  원전사고, 영국의 리비아 침공 등 동시대  근본적인  조건들로부터  재현과  환상이
        보이지 않는다. 암흑의 끝에서야 숨지 않  상을 아름답게 만들고자 하는 마음을 화  특정 사건들을 조사하고 탐구하는 과정    라는 미디어적인 특수성을 통해, 움직임
        는 어두움. 시간의 바닥에 웅크린 어둠을  려하고 밝은색이 사용되는 꽃과 정물을  에서 이미지와 텍스트를 자신의 개인적  을 통해, 생명성과 정지 이미지를 통해
        틈타 희미하게 숨이 꺼진다.         다루는 회화 속에 담았다.         경험들과 뒤섞어 재구성했다.         드러나는 생명성의 의미이다.

        이정민 개인전 | 10. 31 – 12. 21  임만혁 개인전 | 9. 4 – 12. 29  조용익 초대전 | 12. 4 – 12. 14   피에르마리브리쏭전 | 12. 5 – 12. 15
        우손갤러리 | T.053-427-7737  이상원미술관 | T.033-255-9001  장은선갤러리 | T.02-730-3533  조선일보미술관 | T.02-724-6322









        도심 변두리의 버려진 숲과 같은 것부터  한지와 전통 안료와 목탄으로 인물을 중   조용익의  점, 선, 면은 우주가 생기고 인  “우리 모두 다 함께 더 나은 환경의 에덴
        시작하여 시장에 진열된 하찮은 물건들    심으로  주변사람들을 대상으로 초기에   류가  존재하게  된  이후  막연히  자행되  동산으로 돌아가자” 라는 주제를 말하며
        과 일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표정까지  는 여백이 많은 공간에 우울해 보이는 인   어온 낭만주의적 자기 파괴적인 황홀경    관람객들을 초대한다. 인간은 계속해서 ‘
        작가 자신이 일상생활 안에서 만나는 각   물이 등장하였고 점차 여러 명의 사람들,  을 선사하는 비주얼 커넥팅의 흐름을 보  나는 누구인가?’ 라는 질문을 던지고, 답
        양각색의 우리 삶의 형태이다.        가족의 모습으로 확장되었다.        여 주는 상징과 기호로 설명된다.      을 찾으려고 노력한다.



        58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