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1 - 샘가2025.3-4
P. 121

하몰과 세겜 그리고 야곱의 아들들은 서로 속이고 있습니다. 겉으로는 화해와 타
            협 그리고 선한 일을 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그들의 이면에는 철저하게 이익
            중심적인 사고와 보복의 심리가 작용하고 있습니다.

              야곱의 아들들의 속임수(13-17) 야곱의 아들들은 세겜의 범죄에 대해 분노하며 속임
            수를 사용합니다. 누이 디나를 더럽혔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하몰과 세겜의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합니다. 할례받지 않은 사람에게 디나를 줄 수 없다고 합니다.
            그렇게 하는 것은 수치스러운 일이 되기 때문입니다. 대신에 세겜과 하몰에게 “만
            일 너희 중 남자가 다 할례를 받고 우리와 같이 되면 혼인을 허락하겠다”고 제안합
            니다. 이는 순수한 제안이 아닙니다. 이 제안은 언약의 표징인 할례를 복수의 도구
            로 삼으려는 것입니다. 지금 야곱의 아들들은 의로운 분노를 명분 삼아 하나님의 방
            법이 아닌 자신들의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합니다. 이들의 행동은 하나님 언
            약의 표징인 할례가 복수와 속임수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가슴 아픈 일이 아닐 수 없
            습니다. 오늘날도 마찬가지입니다. 예배나 집회가, 이처럼 순수하지 않게, 보복이나
            어떤 문제 해결의 수단이 되고 있지는 않은지 되돌아 봐야 합니다.

              하몰과 세겜이 수락하다(18-23) 하몰과 세겜은 이들의 제안을 긍정적으로 받아들
            여 신속히 실행합니다. 이는 세겜이 디나를 진정으로 원했기 때문입니다. 세겜은 성
            읍에서 가장 존귀한 자였습니다. 그의 영향력은 매우 컸습니다. 하몰과 세겜은 성읍
            사람들에게 할례 받을 것을 설득합니다. 이스라엘 사람들의 딸들을 아내로 데려오
            고 우리의 딸들도 그들에게 주자고 말합니다. 통혼을 강조합니다.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얻을 경제적인 유익도 강조합니다. 물질적 탐욕을 기반으로 자신이 속한 공동
            체를 설득합니다. 하몰과 세겜의 이런 설득은 하나님의 언약과 거룩함의 가치를 이
            해하지 못한 것입니다. 단순히 인간적 욕망과 물질적 유익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
            다. 신앙적 타협은 종종 당장 눈에 보이는 이익으로 미화될 수 있습니다. 그 결과는
            파괴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오늘날 세상에서 당신의 신앙적 가치를 순수하게 지키기 위해 어떤 도전과 타협
            의 요구를 경험하고 있습니까? 당신의 거룩한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어떤 태도를 가
            져야 할까요?








             겸손이 나무의 뿌리라면 그 나무의 본질은 가지와 잎사귀, 열매입니다. 겸손은 예수님의 삶을 아우르는
             우선적인 은총이고 예수님의 속죄에 담긴 비밀입니다. 또한 예수님의 성품이자 우리가 그분께 구하는
             가장 중요한 것, 다른 모든 것을 희생해서라도 구해야 할, 영적 삶의 중대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교만
             과 겸손은 두 개의 힘 있는 열강이자 인간에 대한 영원한 소유권을 두고 싸우는 두 개의 세계나 다름없
             습니다. 오직 하나의 겸손, 그리스도의 겸손으로 아담에게서 비롯된 죄의 본성을 이길 수 있는 선한 싸
             움을 할 뿐입니다.(앤드류 머레이)
                                                                           119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