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1 - 종사총람 수정증보판
P. 141

향후조치(向後措置)



                       1) 추(錘)공에 대하여

                          ○  제반  기록문서(諸般  記錄文書)나  보서(譜書)에  일선군(一善君)은  일소(一掃)하
                              고 삼척군(三陟君)으로 기재(記載)한다.

                          ○ 관시조(貫始祖)의 위패(位牌)는 현(現)숭모사(崇慕祠)에 모시되 제관(祭官)이 입
                               실(入室)할  수  있게  전면(前面)을  확장하고,  보대각(寶帶閣)은  동(東)쪽  공지
                               (空地)로 이건(移建)하여 숭모사(崇慕祠)가 좀 더 돋보이게 한다.

                          ○ 시조제향(始祖祭享)은 따로 엄숙하게 행례(行禮)함이 마땅하다고 생각한다.





                       2) 위옹(渭翁)공에 대하여


                          ○ 제반 기록물이나 족보등에 시조가 아닌 실직군왕(悉直郡王)으로만 기재 사용토
                              록한다.

                                ※ 고쳐야 할 호칭 : 실직씨국왕(悉直氏國王), 실직국왕(悉直國王), 실직군왕(悉直君王)등은 잘못
                                                      표기(表記)되었다고 생각되니 향후 호칭이나 기록물에 유의할 일이다.

                          ○ 실직군왕제(悉直郡王祭)에 대하여

                             우리고장의 자랑스런 향토문화재(鄕土文化財)인 양릉(兩陵)과 군왕묘(郡王廟)를
                              갖고  있는 한,  실직군왕제(悉直郡王祭)는  250여년의  역사를  갖고  있는  향토문
                              화사적(鄕土文化史的)인  가치를  재인식하여  군왕제(郡王祭)는  이  고장  온  시민

                              (市民)의 축제(祝祭)의 장(場)이 될수 있게 확대 승화(昇華)시킴이 좋겠다.

                                             ※ 헌관(獻官)은 이고장 주요기관장(主要機關長)으로 하고 일반시민(一般市民)도
                                                                                참례(參禮)할 수 있게 함이 좋겠다.





                      참고


                       위옹공(渭翁公)의 관직(官職) : 고려 문종14(文宗1060)년 당시 훈계(勳階)를 살펴보면

                       ▫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사농경(司農卿)·어사대부(御史大夫)등은  정삼품(正
                            三品)이었고

                       ▫  상주국좌승상(上柱國左丞相)은 정이품(正二品)이였다.(고려사, 百官志)

                       ○  기회(機會)에  양대(兩代)가  함께  영예(榮譽)롭게  그  위상(位相)이  동반상승(同伴上
                           昇)하게  하여  대내외(對內外)에  우리  삼척김씨(三陟金氏)의  새로운  정체성(正體性)
                           을 천명(闡明)하자.



                                                                                  제2편  삼척군기(三陟君記)  141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