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9 - 종사총람 수정증보판
P. 139

그런데 우리 역대(歷代)족보를 살펴보면 1849(己酉)년부터 4회차(四回次)나 똑

                            같이  - 신라김씨구공자(新羅金氏九公子) 형제후분봉서차(兄弟後分封序次)라는 것
                            을  발견(發見)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왕  제팔자(王第八子)  추(錘)  봉(封)  삼척김
                            씨(三陟金氏)라고 분명(分明)히 적어놓았다.


                             그러나  1874년  발간한  갑술보(甲戌譜)부터  추(錘)공에  대하여  은일의사(隱逸義
                            士)  불굴어려(不屈於麗)로  방주(旁註)하였으니  이는  추(錘)공을  중조(中祖)나  시조
                            (始祖)로서  부적격인물(不適格人物)임을  적시(摘示)했다고  생각된다.  추(錘)공의
                            출생이  946년  고려  3대  정종(定宗)2년생인데  불굴어려(不屈於麗)란  표현(表現)은

                            이해(理解)가 되지 않는다.


                             ○ 관시조(貫始祖) 추대(推戴)의 일반적인 사례와 특별(特別)한 사례(事例) 사관(賜貫)


                                ① 일반적인 사례(事例)

                                   고려  초에  성(姓)이  일반화  될  때  각  지방에서  친족공동체(親族共同體)들
                                     이  종족(宗族)의  안녕(安寧)과  보존을  위한  수단으로  각기  분립하여  직계
                                     선조(直系先祖)중  가장  훌륭하였다고  여기는  조상(祖上)을  중조(中祖)  또
                                     는 시조(始祖)로 추대(推戴)하고 그 연고 지명(地名)을 관(貫)으로 하여 성

                                     (姓)앞에 붙여 관시조(貫始祖)로 모시게 된 것이 일반적인 사례다.


                                ② 특별한 사례(事例) (사관 賜貫)

                                   그러나 우리들 삼척김씨(三陟金氏)와 같이 임금이 봉군(封君)할 때 어느
                                     지역(地域)  명칭  곧  관(貫  :本)을  부쳐  주었으니  이는  특별한  사례(事

                                     例) 사관(賜貫)이라 할 수 있다.

                                   경순왕(敬順王)의  왕자(王子)  중(中)  후비왕씨(後妃王氏)  소생(太祖王建
                                     의  外孫)의  왕자(王子)들에게  석(錫)은  의성군(義城君),  건(鍵)은  강릉군
                                     (江陵君),  선(鐥)은  언양군(彦陽君)  그리고  추(錘)는  삼척군(三陟君)등으
                                     로    변방(邊方)지역의  이름을  각기(各己)  부쳐  봉군(封君)하였음은  다분

                                     히  봉건시대(封建時代)의  왕권(王權)을  강화(强化)하기  위한  정치적인
                                     목적으로 배려했다고 생각된다.





                                ▣ 왕자봉군(王子封君)시의 시대적(時代的)배경

                                   위  4왕자(四王子)의  봉군(封君)시기는  고려4대  광종(光宗  949~975)과
                                     5대 경종(景宗 975~981)에 의한 것으로 여겨진다.
                                   5대 경종(景宗)은 우리 추공(錘公)과는 남매지간(男妹之間)이다. 경종(景




                                                                                  제2편  삼척군기(三陟君記)  139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