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0 - 종사총람 수정증보판
P. 140

宗)의  비(妃)는  경순왕(敬順王)의  따님이고,  경순왕(敬順王)은  경종(景

                               宗)의 고모부이면서 장인(丈人)이 된다.

                             경종(景宗  975)은  왕위(王位)에  오르자  곧  경순왕(敬順王)을  정승상부
                               (政丞尙父)·도성령(都省令)이란  특별히  높은  자리를  만들어  우대했다.
                               (고려사)





                         ▫  봉군(封君)은  고려조부터  종친(宗親)이나  공(功)이  있는  신하(臣下)에게
                              왕(王)이  내려  주던  존호(尊號)로서  그  신분(身分)을  높여  주던  일로  정
                              이품(正二品)이상이다.

                         ▫  추증(追贈)은 나라에 공(功)이 있는 자가 죽은 뒤에 그의 벼슬을 높여 영
                              예를 누리게 하던 일.(삼국시대부터 행함)

                         ▫  추(錘)공의  봉군(封君)은  삼척군(三陟君)이다.  그러므로  추(錘)공은  임금
                              이 사관(賜貫)한 득관조(得貫祖)이다.
                            추공봉군(錘公封君)이  삼척군(三陟君)임은  각종  고증문헌(各種  考證文獻)
                              이나 각관성보(各貫姓譜)에 한결같이 삼척군(三陟君)으로 되어 있으니 객
                              관적(客觀的)으로  입증(立證)되었다.  (일선군(一善君)은  우리족보와  문제
                              의 선산김씨가 유포(流布)한 것 외엔 찾아볼 수 없다.)





                결론(結論)


                 1)  경순왕(敬順王)  제팔자(第八子)  추(錘)공의  봉군(封君)은  일선군(一善君)이  아닌  삼척군
                     (三陟君)이다.

                    고(故)로 추(錘)공은 득관(得貫)하신 삼척김씨(三陟金氏)의 관(貫) 시조(始祖)이시다.



                 2) 위옹(渭翁)공은 추증(追贈)되신바대로 실직군왕(悉直郡王)으로 모신다.

                    -  논란(論難)의  여지가  있겠으나  종전(從前)과  같이  군왕(郡王)을  기세조(起世祖)
                        로  하여  종사(宗史)가  무리(無理)없이  전승(傳承)되기를  희망하는  김달수(金達
                        壽)원로(元老) 고문의 의견제시(意見提示)가 있으므로 고려(考慮)하기 바란다.


















              140    三陟金氏  宗史  總覽  修訂增補版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