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1 - 1부. 경전 성서와 세계사 속에 숨겨진 ‘단군조선’의 뿌리역사
P. 81

편지  2:13)  사람이라고  하였다.  너희는  말에나  행실에나  장차
            자유의  율법대로  심판받을  자로  알고  행하라(약  2:12)고  하였다.
            한민족의  전통  예절  속에는  효(孝)와  인(仁)의  근본,  충(忠)의  기

            본  자질,  모든  행동의  근본은  인간  평가의  기준이  된다.  이는
            바로  하나님의  자유율법의  바탕이  되는  예법을  준수하게  하여

            미리부터  단군선민(檀君選民)의  역사를  이루어가신  하나님의  지
            혜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홍익인간(弘益人間)이나  경천애인(敬天愛人)의  사상도  효

            의  정신에  바탕을  두고  있다.  그러므로  청소년들에게  인간을  존
            중하고  사랑하는  효의  정신을  바탕으로  도덕성  함양과  전통  생
            활  예절을  가르치는  사회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겠다.  고

            조선  시대부터  전통  예절은  학교나  사회나  일상생활  속에서  예
            절  문화  그리고  개인  생활  예절과  가정  생활  예절에서  가계  알
            기,  인사법,  의사  표현,  계촌법,  가정의례에  중점을  두고  교육의

            내용을  구성해야  한다.


              또한  예로부터  한민족을  두고  ‘동방예의지국(東方禮義之國)’이

            라  하였다.  약  2,300년  전  공자(孔子)의  7대  후손인  공빈이  쓴
            <동이열전(東夷列傳)>을  살펴보면  "스스로  자랑하거나  교만하지
            않고,  형제의  사정을  내  사정으로  여기며,  형제의  잘못을  내  잘
            못으로  여기며,  풍속이  순하며  길을  가는  이들이  서로  길을  양

            보한다.  이는  동방의  예의와  문물을  갖춘  군자의  땅  동이의  나
            라에  살고  싶다는  공자의  바람을  기록하고  있다.



              글을  마무리하면서  한  가지  덧붙인다면  고조선  시대부터  지내



                                                                      -  80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