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 - 오산문화 66호
P. 13
2018 VOL. 66 osan culture
<그림2> 화성 석교리유적에서 나온 신석기시대 토기와 석기(중부고고학연구소 발굴)
기 이상 발굴되어 신석기시대 마을의 양상과 사회상을 연구하 를 비롯하여 안산 대부도 흘곶, 대연평
는 데 귀중한 자료로 볼 수 있다. 도 까치산, 소연평도, 용유도 을왕동유
서해안의 해안가나 섬에서 확인된 조개더미 유적은 어패류를 적 등이 있다.
채취한 후 일차가공을 한 후 생선뼈나 조개껍질 등을 버려 남 한편, 남양주 호평동 지새울유적에서
겨지게 된 일종의 쓰레기터이다. 남해안의 조개더미는 대체로 는 저장용 구덩이에서 다량의 도토리
인간이 장기간 거주하던 마을 부근에 위치하는 데 반해, 서해 가 나왔다. 가을에 채집한 도토리는 식
안 및 도서, 특히 경기만 이남의 조개더미 유적에서 발견된 집 량 획득이 어려워지는 겨울에서 봄까
터는 극히 드물며, 대체로 단기간 이용된 야외 화덕만이 발견 지 장기간 보관하면서 먹었을 것으로
되고 있는 점에서 볼 때, 멀리 떨어진 마을 유적으로부터 일시 추정되는데, 식용자원으로서의 도토리
적으로 방문하여 형성된 단기 캠프로 보고 있다. 경기지역에는 의 기능과 그 저장방식을 이해할 수 있
황해도와 연접한 백령도, 연평도부터 남쪽으로는 덕적군도 이 는 중요한 자료이다.
남까지 크고 작은 많은 섬들이 분포하는데, 대부분의 섬에서 신석기시대 오산 사람들은 어떤 흔적
신석기시대 조개더미가 발견되고 있다. 시흥 오이도 조개더미 을 남겼을까? 오산의 신석기유적은 경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