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82 - 제4권
P. 582

대에 약업사 보화당(普和堂)을 개설하고, 1940년대에 농장을 건설하기도 한다. 해방 이후인 1947년
                  에는 교명을 원불교로 개명해 사회복지, 의료, 교육 시설 등에 기여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원불교의 교리와 의례를 보면, 우선, 경전을 교전(敎典)이라고 부른다. 교전은 교리의 강령을 담은
                  『정전(正典)』과 교조의 언행을 담은 『대종경(大宗經)』을 합본해 1962년에 발행된다. 『정전』의 총서편에

                  는 원불교 개교의 동기와 교법의 총설, 교의편에는 일원상·사은사요·삼학팔조 등의 교리, 수행편
                  에는 훈련과 수행 관련 법문과 실천 요목 등이 담겨 있다. 『대종경』은 제자들이 수집한 교조의 법문과

                  언행이 15품(品) 547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석가모니불을 연원불(淵源佛)로 삼는다. 종지는 ‘법신불일원상(法身佛一圓相)의 진리’이

                  다. 그리고 사은(四恩), 즉, 천지은(天地恩), 부모은(父母恩), 동포은(同胞恩), 법률은(法律恩)을 인생
                  의 중요한 길로 삼고 있다.

                    다음으로, 의례를 통례(通禮), 가례(家禮), 교례(敎禮)로 구분한다. 교례에는 월례 법회[예회, 야회],
                  연례 법회[결제식, 해제식], 수시 법회 등이 있다. 월례 법회는 일요일 예회, 수요일 야회, 혹은 3·6

                  일 예회, 3·1일 야회 등을 말한다. 그리고 4축 2재의 경절을 기념한다. 4축은 신정절[1월 1일], 석존
                  성탄절[음 4월 8일], 대각개교절[4월 28일, 교조의 깨달음을 경축하고 전 교도의 공동 생일로 기념],

                  법인절(法認節)[8월 21일], 2재는 육일대재[6월 1일, 교조 열반일]와 명절대재[12월 1일]이다.
                    원불교 조직을 보면, 우선, 전북 익산에 위치한 중앙총부에 종법사(宗法師)와 수위단회(首位團

                  會), 중앙교의회(中央敎議會), 교정원(敎政院), 감찰원(監察院) 등이 있다. 종법사는 교조인 소태산
                  대종사으로부터 이어지는 최고 직위이고, 수위단회는 종법사를 선출하는 최고 결의 기관이다. 수

                  위단회에서 선출된 역대 종법사는 정산(鼎山) 송규(宋奎, 1900~1962), 대산(大山) 김대거(金大擧,
                  1914~1998), 좌산(左山) 이광정(李廣淨, 1936~)이다. 현재 종법사는 2006년 11월에 추대된 경산(耕

                                             2)
                  山) 장응철(張應哲, 1940~)이다.
                    다음으로, 각 지역은 교구제를 통해 관리한다. 교구 아래 단위는 ‘지구’이고, 그 아래 단위는 개별

                  교당들이다. 지구는 교구와 교당의 중간자 역할을 수행한다. 입교자를 교도(敎徒)라고 하며, 출가(出
                  家) 여부를 기준으로 재가교도와 출가교도로 구분된다. 출가교도를 전무출신(專務出身)[교무]이라고

                  하고, 독신 전무출신을 정남(貞男)과 정녀(貞女)라고 부른다. 전무출신에는 교무(교화직)와 별도로 각
                  각 전문직과 봉공활동에 종사하는 도무(道務)와 덕무(德務)도 있다. 교도에게는 조석심고(朝夕心告),

                  법회출석(法會出席), 보은헌공(報恩獻供), 입교연원(入敎淵源)라는 4대 의무, 선거·피선거와 교정
                  (敎政) 참여라는 2대 권리가 주어진다.

      오산시사          원불교의 사회적 활동은 1948년 1월의 재단법인 설립 후 활발한 편이다. 주요 사례로는 우선, 성
                  지 개발과 교당 설립 활동이다. 영산·변산·익산·성주·만덕산 등의 성지와 익산 중앙총부를 비롯

                  해 국내 530여 교당과 해외 21개국 69개 교당이 있다. 다음으로 교육활동이다. 원광대학교 외 5개 대
      제

      4           학과 원광고등학교 외 8개 중·고등학교, 영산성지고 외 9개 대안 학교, 140여 개의 유아 교육 기관
      권



    580           2)  원불교 소개(https://guide.won.or.kr/, 2019.9.21.)에 따르면, 원불교에는 6개 ‘법위등급’과 그에 따른 ‘법계’가 있다. 법위등급(법계) 순서는
                    ‘보통급(교도) → 특신급(敎選)→ 법마상전급(敎正)→ 법강항마위(正師)→ 출가위(圓正師)→ 대각여래위(大圓正師)’ 순이다.
   577   578   579   580   581   582   583   584   585   586   5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