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8 - 오산문화총서 3집
P. 108
『水原郡邑誌』에 기록된 진남루는 『華城志』의 기록과 유사하다. 다만, 진남루의 위치에 대해서
는 『水原郡邑誌』가 비교적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는데, 『華城志』의 기록을 보면 진남루는 운주당
의 남쪽 즉, 성의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만 알 수 있다. 반면 『水原郡邑誌』의 기록을 보면 진
남루가 성 남쪽 모퉁이의 절벽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水原郡邑誌』 ①) 진남루를 ‘樓閣’
11)
으로 기록한 『華城志』와 달리 ‘譙樓’로 기록하고 있는데 초루는 성 위에 세운 건물을 총칭 하는
12)
것으로 성 위에 세운 누각 또는 문루 를 의미한다. 이러한 기록을 종합해보면 진남루는 독산성
의 남쪽 모퉁이 성 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성격은 성 위에 세워진 누각 또는 문루로 판단된
다. 한편 진남루는 문루 보다는 성 위에 세워진 누각으로 생각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고
자 한다.
3. 水原府邑誌
『水原府邑誌』는 독산성과 진남루가 기록되어 있는 읍지이나 『華城志』나 『水原郡邑誌』와는 다
르게 연대미상이다. 다만 독산성의 기록과 지명으로 토대로 연대를 추론 할 수 있는데 독산성의
성첩에 대해 303첩으로 기록되어있는데, 이는 1757년(영조 33)에서 1765년(영조 41)에 편찬된
14)
13)
여지도서와 동일하고 특히 1793년(정조 17)에 수원부의 호칭이 화성으로 바뀌는 것으로 볼
때 1793년 이전에 기록된 읍지로 추정된다.
따라서 『水原府邑誌』는 『華城志』와 『水原郡邑誌』보다 먼저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여기에
기록된 진남루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水原府邑誌』山城
① 樓亭
진남루는 독성 남쪽에 있는 표루로 이정구가 기문을 지었다.…(중략)…성의 남쪽 모퉁이 절벽
11)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韓國考古學專門用語事典:城郭ㆍ烽燧編』
12) 주11의 책
13) 『輿地圖書』 水原部邑誌 城地
…(전략)…독성산성 둘레 5리, 성첩 303첩, 높이 3장…(후략)…
14) 『朝鮮王朝實錄』正祖實錄
정조17년 1월 12일
改號水原府爲華城, 御筆揭額于壯南軒.…(후략)…
106 이용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