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9 - 제6권
P. 129
다. 여기에 당제사로 명칭은 하였지만, 실질적으로 산제사인 지곶동과 탑동을 포함한다면 오산시의 127
마을신앙에 산을 위하고 있음을 명확하게 드러낸다고 하겠다. 구비전승
필봉산 자락에 위치한 내삼미동의 경우 산신제, 산제사의 명칭을 각각 사용하면서 우물제사를 함
께 올렸다는 점도 마을의 특성을 짐작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산과 접하면서도 농업을 주업으로 하 · 민속
고 있기에 동일한 법정동 내에 인접한 마을임에도 각 마을을 위하는 제의를 각각 거행함으로써 풍농 · 경기도당굿과
과 주민들의 안녕과 번영에 대한 소망을 담아내고 있다고 보인다.
다음은 제의에 올리는 제수(祭需)의 차이를 통하여 각 마을의 마을신앙의 의미를 좀 더 세밀하게
경기재인청
들여다보기로 하겠다. 어떤 제수를 올리느냐 하는 것은 그 마을의 전통이 어디에서 기인되고 있는지
를 보여주는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예로 시루를 올린다고 할 때에 일반적으로 팥시루떡을 올린다고
생각하지만 실은 그렇지가 않다. 팥시루를 올리느냐 흰시루를 올리느냐 하는 것은 마을을 수호하여 / 성씨
준다고 여기는 마을의 수호신의 신격이 호랑이인 산신인가 아닌가? 혹은 이 마을에 전통이 제대로 · 인물
계승되고 있는가를 가늠하는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2) 제수(祭需)
마을이름 소 돼지 닭 조라 흰시루 팥시루 기타
가수동 + + + 뫼
가장동 + + 엿기름만 사용
갈곶동 + + 생선(낙지)
고현동 + 오곡밥
궐동 + + 튀각, 감10
금암동 + +(암·수) + 조기, 감10
누읍동 + 7월
내삼미동 +
두곡동 + + +
부산동 + + + 가래떡 검은시루 대구포, 용떡
벌음동 + + 脯, 炙
서동 + + +
서랑동 + + + 脯
세교동 + 수 + + 崔村
수청동 + + 炙
양산동 + + 통북어
은계동 + + 삼탕, 과일3개씩
원동 + 밀주 + + 神體=돌멩이
지곶동 + + + 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