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7 - 턴키설계실무요령
P. 257

4)  교육시설 및 정밀기기

                                                                                          (
                 구분        학교보건법 시행규칙(2019      년)     한국지질자원연구원(1996       년)    ISO 기준 국제표준화 기준)
              소음 진동                55dB(A)                     54dB(V)                    54dB(V)
                  ⋅
                                                                                                ,
                                                                                 ⋅ 병원의 수술실 정숙을
                                                      ⋅ 수술실 정밀의료장비                 요하는 지역
                                                              ,
                 특징       ⋅ 교사 내 소음
                                                        영향 고려                    ⋅ 충격진동 54dB(V),
                                                                                   연속진동 51dB(V)

            5)  수중 생물 허용기준
            (1)  국내기준


                                                                                                 (
                구분         해양과학대학(1994      년)        소음 진동공학회(2003       년)     최신화약발파해석 구미서관)
                                                          ⋅
                                                                                         μ
                                                                   μ
                                        μ
              허용기준             214.6dB/ Pa                  205dB/ Pa              226dB/ Pa, 2.0kg/cm  2
                특징          자주복치어 영향없음                  수중 발파음 한계치                     거의 영향없음
                   μ
            ⋇ dB/ Pa :   수중에서 음의 압력의 크기를 dB             단위로 표시한 것
                                   -6
                                           )
               μ Pa : 1 평방미터당 10 N(    뉴턴 의 힘이 누르는 압력의 크기
            (2)  미국 사례

                 구분        Oregon  주 LNG   터미널            캘리포니아교통국                        FHWA

                                        μ
                                                                   μ
               허용기준              150dB/ Pa                  196dB/ Pa                   183dB/ Pa
                                                                                               μ
                 특징       물고기체중(2g    미만 피해발생        물고기체중(10~100g)    피해없음      물고기체중(2g    미만 피해시작
                                                                                                )
                                         )
            (3)  일본 요코하마국립대학
                    ,
                                          수중발파에 동반되는 압력파의 전파와 어류의 손상
                구분
                            잉어          쫌뱅이                                 결과

              허용기준       20kg/cm  2    22kg/cm 2   ⋅ 부레 손상은 10kg/cm ≒       240dB/ Pa  정도의
                                                                         2
                                                                                   μ
                특징           내장손상이 나타남               압력파에서 손상을 입지않음

            (4) Turnpenny and Nedwell(1994)


                구분            유인 유치레벨                        회피레벨                       손상레벨
                                  ,
                                         μ
              허용기준           110~130dB/ Pa               140~160dB/ Pa                 220dB/ Pa
                                                                                              μ
                                                                    μ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