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3 - 턴키설계실무요령
P. 53

열차집중제어장치(Centralized Traffic Control System, CTC)
            서울 부산간 전구간의 열차운행상황을 중앙센터 남서울역 에서 집중감시하고 컴퓨터에 입력된
                                                                 )
                                                        (
                ~
            열차운행계획에 따라 열차운행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장치
               열차출발안내게시기(Departure Indicator, DI)
                                                   ,
                             ,
                                         ,
                                                            ,
            대합실에 설치하여 열차의 출발 출발예고 출발지연 비상경보 등을 표시하는 장치.
               열차하중(列車荷重       , train load)
            선로에 영향을 미치는 열차의 하중을 말한다.
               열차행선 안내게시기(Train Destination Indicator, TDI)
                                                               ,
            승강장에 설치되어 열차의 접근신호 도착예고 출발예고 도착지연 등의 내용을 표시하는 장치.
                                                      ,
                                            ,
               열처리 레일(熱處理 軌條         , heat-treated rail)
            레일은 고탄소강으로 되어 있어 열차의 반복 통과에 따라 마모되는데 내마모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레일의 일정 부위를 열처리하여 경도를 높인 레일을 말한다 그 종류는 두부 열처리 레일 단부 열처리
                                                                                             ,
                                                                  .
            레일이 있고 열처리 방법에 따라 퀘엔칭 템퍼링식과 스라크 퀘엔칭식이 있다.
               영업선(營業線     , line open to traffic)

            영업적으로 사용되는 철도선로를 말한다.
               영업키로(營業     키로, service kilometers)
            운수영업을 표시한 구간거리로서 수송량과 운임 계산의 기초가 된다.
               예비 방부처리

            목침목에서 목재를 건조시 충해로 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제재 직후에 예비적으로 방부제를 도포 혹은
            침지하는 것을 말한다.
               완목식 신호기(腕木式 信號機           , arm signal, semaphore signal)
            기계식 신호기로서 완목의 위치에 의하여 열차의 운전조건을 지시하는 기계 기구를 말한다.

               완충기(Draft Gear)
                    ,
            열차출발 정지 및 주행중 가감속시 차량에는 가속도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승객의 승차감에 영향을
                     .
            주게 된다 이러한 가속도를 흡수하여 양호한 승차감을 유지하는 장치.
               완충레일(緩衝軌條       , bufler rail, expansion adjusting rail)

            장대레일 끝부분의 신축을 보통 이음매의 유간 변화로 처리하기 위해 장대레일 끝부분이 연속해서
            부설한  이내의 레일을 말한다.
               완화곡선(緩和 曲線       , transition curve)
            열차가 직선에서 곡선으로 진입할 때 곡선반경이 무한대에서 일정치로 급히 변화가 되므로 열차가 진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직선과 원곡선 사이에 곡율이 변화하는 곡선을 넣어 캔트 및 스랙 곡율을 서서히 변화하게
                                                                                     ,
                .
            하는데 이 곡선을 완화곡선이라 한다 완화곡선의 형상은 3                      차 포물선 사인 반파장 완화곡선 등이 있다.
                                                                         ,
                                             .
               완화곡선장(緩和曲線長         , length of transition curve)
            완화곡선 시점부터 종점까지의 거리.
               외궤(外軌    , outer rail)
            곡선 구간에서 궤도 중심방향 반대측 레일을 말한다.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