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7 - 턴키설계실무요령
P. 57
유절연 궤도회로(Insulated Joint, JIS)
궤도회로를 구성하는 방식의 하나로 레일을 절단하고 절연체를 삽입하여 인접궤도회로와 분리되도록
전자기적으로 회로를 구성한다.
유치선(留置線 , hold track, storage(or pool) track)
,
,
유치선은 측선의 일종으로서 차량을 일시 유치하는 선로를 말하며 객차 유치선 화차 유치선,
,
기관차 유치선 전차 유치선 보선장비 유치선 등이 있다.
,
유치시간(留置時間 , storage(pool) time)
열차가 차량기지에 들어가서 출발할 때까지 시간을 말한다.
개괄적인 차량기지 계획에는 전열차 또는 열차의 평균유치시간을 예상하여 시간을 결정한다.
유효장(有效長 , effective length of track)
,
차량을 정지시키는 선로 또는 차량을 유치하는 선로에 있어서 인접 선로에 지장을 주지 않고 열차 또는
.
차량을 정지 유치할 수 있는 길이를 말한다 보통 차량접촉 한계표 상호간의 거리를 말하지만,
,
출발신호기가 설치된 선로에서는 출발신호기까지의 길이로 한다.
윤연로(輪緣路 , frange way)
(
)
,
철도차량은 차륜의 플렌지가 레일두부 측면에 접촉되어 유도 가이드 되므로 크로싱 가드레일 등에서는
이 플렌지를 통과시키기 위하여 윤연로가 필요하며 고정 크로싱에서는 궤간선에 결선부를 두므로서
윤연로가 확보된다.
윤연로 깊이(輪緣路深 , flangeway depth)
차륜의 플렌지(輪緣 ) 높이란 레일두부와 차륜이 접하는 면(面 ) 인 답면(踏面 ) 에서 차륜의 탈선을 방지하기
위한 차륜의 턱의 크기를 말하며 이를 고려하여 윤연로 깊이를 확보한다.
윤연로 폭(輪緣路 幅 , flangeway width)
윤연로폭은 본선 레일의 궤간선과 가드레일 측면과의 거리를 말하며 윤연로를 통과하는 모든 차륜의
플렌지 두께와 차륜의 내면 및 플렌지 외면거리와 궤간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윤중(輪重 , wheel load)
차륜에 의하여 궤도에 가해지는 수직의 힘을 말하며 정지시의 압력 축중의 1/2 크기 외에 주행 시에는
,
(
)
곡선 통과 시의 전향 횡압 및 불균형 원심력이나 차량동요의 관성력 등에 의하여 좌우의 윤중차가 생긴다.
응급복구(應急復舊 , emergency rehabilitation)
,
재해 등으로 선로침수 교대 및 교각의 세굴 전도 둑 붕괴 유실 등을 임시로 가복구하는 것을 말한다.
,
,
,
열차를 서행 운전시키며 본 복구를 한다.
응급 이음매판(應急 이음매板 , emergency joint bar)
레일이 손상되었을 경우에 응급이음매판을 임시로 설치하고 열차의 안전을 확인하면서 서행으로
통과시켜 손상레일을 갱환한다.
이격도(Separating-Distance Diagram)
통신선과 전력선간의 이격거리를 나타낸 도표.
이론 교차점(理論 交叉點 , theorelical(mathematical) point)
분기기의 크로싱부에서 두 궤간선의 교점(交點 ) 을 말하며 크로싱 교점이라고도 한다.
포인트부에서는 기본레일의 궤간선과 텅레일의 궤간선의 교점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