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 - 신구약 중간사
P. 4

이들의  시작은  유프라테스,  티그리스  강의  비옥한  초생달  지역에서부터  시작되었다.
               바로  지금의  이라크  지역이다.  이집트  이후의  대  제국을  앗수르가  이루게  된  것이다.
               요나서에  보면  앗수르의  수도  니느웨를  대충  돌아다녔는데  3 일이  걸릴  정도로  큰
               도시였음이  묘사되어  있다.  나라가  커지다  보니  무한팽창하고  싶어한다.  그래서
               앗수르의  살만에셀 5 세가  북이스라엘  수도인  사마리아를  쳐  들어갔다.  그러나  3 년간
               성문을  닫고  사마리아는  버텼고  그  후  완전히  성을  빼앗겨  함락당한다.  사마리아가
               다시  일어나지  못하게  하기  위해  앗수르는  혼혈정책(멜팅  팟 Melting Pot-인종의
               용광로,  모두  섞어  녹여버리는)을  사용한다.  반대로  셀러드  보울(salad bowl)  정책은
               모든  민족이  각자의  개성을  살려  섞여  사는  것,  각자의  문화를  존중해  주는
               정책이라  할  수  있는데  후에  페르시아  고레스의  정책을  이에  비교할  수  있다.
               그래서  당시  사마리아에  남아  있는  북이스라엘  인들을  모두  강제결혼  시켜서
               혼혈종족을  만들었다.  그리고  탄생한  민족이  사마리아인이다.  그리고  유대인들은

               사마리아인을  매우  무시하고  싫어하게  되었다.


               남유다의  멸망

               앗수르가  점점  커져서  북이스라엘을  침략한  후  앗수르의  왕  산헤립이  18 만 5 천명의
               대군을  이끌고  예루살렘으로  쳐들어온다.  당시  남유다왕은  히스기야  였는데
               히스기야의  아버지  아하스는  친  앗수르  정책을  폈었다.  그러나  히스기야는
               자주국방을  외치면서  군대를  정비하고  성벽,  무기를  정비하였고  이  모습이  마음에
               들지  않았던  산헤립이  대군을  끌고  온  것이다.  남유다  40 개  성읍은  이미  함락되었고
               예루살렘만  남았었으나  히스기야의  기도를  들으신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하룻밤에
               대군이  시체가  되었고  산헤립은  니느웨로  돌아가  자기  아들들에게  칼로  암살당한다.


               그  후  앗수르는  급격히  쇠퇴하고  이  때  바벨론제국이  일어난다.


               바벨론
               앗수르처럼  비옥한  초생달  지역에서  일어난  작은  도시였다.    갑자기  왕성해  짐

               인도,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  러시아까지  거대한  나라가  되었다.
               고대  바벨론  -  아브라함시대  (함무라비  왕)
               신바빌로니아  -고대  바벨론을  계승한  나라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