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1 - PHOTODOT 2017년 9월호 VOL.46 Sept
P. 41

인식하거나 또 다른 사유 또한 가능해 보인다. 특별히 물리적으로 구획
                                                                     된 ‘자개 프레임’을 사용한 까닭이 있는가.
                                                                     <Mother-of-Pearl>에 사용되는 자개 프레임 문양은 주로 십장생문양(十
                                                                     長生紋樣)과 길상문양(吉祥紋樣)들이다. 대게는 ‘복’을 기원하는 추상화
                                                                     된 문양들이 자개 형태로 이뤄져 있는데 오래된 것은 60~70년이 되었거나
                                                                     근간에 만들어진 것 역시 적어도 30년은 넘는 것들이다. 이번 작품에서 프레
                                                                     임 자체의 비중을 60-70% 두고 있다.  내가 한 일은 프레임을 찾아낸 뒤 프
                                                                     레임에 어울리는 사진을 선택해 하나로 합치할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작가
                                                                     명은 내 이름으로 표시되지만 수십 년 전 어느 무명 나전칠기 장인과 나의
                                                                     공통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오래전 수작업으로 만들어진 자개 프레임들은
                                                                     형태나 색깔, 디자인이 모두 다르다.  그래서 똑같은 작품이 하나도 없다. 민
                                                                     화의 경우 오랫동안 제대로 된 대접을 받지 못하다가 최근 들어서 외국에서
                                                                     주목을 받는 등 예술로 제대로 인정을 받고 있다. 반면 한국나전칠기의 문양
                                                                     은 세계적으로 자랑해도 될 만큼 수준이 높은데 많이 알려지지 않아 안타깝
                                                                     다. 이번 작품을 통해 한국의 자랑스러운 나전칠기 문화가 좀 더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Mother-of-Pearl>의 프레임 방식은 일반적인 사진작업 방식과는 완
                                                                     전히 다른 방식이다. 프레임이 먼저 선정되고 프레임에 맞춰 사진이 결정
                                                                     되는 매우 독특한 방식으로 기존의 작가의 작품 방식과도 다르다. 이러한
                                                                     변화의 의미는 무엇인가.
                                                                     <Mother-of-Pearl>작품은 한국의 전통 나전칠기에 대한 아름다움이나 가
                                                                     치를 인식하고 작품에 도입한 것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지만 기존의 작품
                                                                     제작과정의 질서를 뒤엎는 사진의 형식을 바꾼 것에 가치를 두고 있다.  사
                                                                     진 역사상 프레임이 사진 이미지보다 중요시되거나 사진 이미지가 아닌, 프
                                                                     레임에 우선권을 둔 다음 사진을 부수적인 것으로 보여준 경우는 드물다. 이
                                                                     러한 부문에 대해 약간의 실험을 해보고 싶었다. 예술이 그렇듯 사진 역시
                                                                     기존의 형식을 떠나서 새로운 도전과 실험이 중요하다. 이러한 부분에 가치
                                                                     가 인정되는 것 또한 예술이다. 나로서는 새 작업이 모험적이고 실험적이지
                                                                     만 흥미롭고 기대가 된다. 각각 다른 형태나 다른 색상의 자개 프레임에 맞
                               Mother of  Pearl 15.archival inkjet print.69x136cm.2017  춰 사진을 셀렉트 했기 때문에 사진의 에디션이 없는, 한점 밖에 존재하지
                                                                     않는 유일한 오리지날리티를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액자의 형태나 색상
                  생각지도 못한 문양과 형태의 자개를 찾은 날은 사진을 하면서 수 십년 동안          등 장식성이 매우 강한 작품이다. 기존에 해왔던 방식의 사진이 일부분 들어
                  느끼지 못했던  ‘헌팅의 즐거움’이나 쾌감이 있다. 이렇게 구해진 자개 프레         있어 작품 안에 담긴 내용이 크게 달라보이지 않을 수도 있지만 형식부분에
                  임에 기존에 있는 사진 이미지 중 어울리는 것을 찾아 매치시켜 하나가 되도          서 많은 차이점이 있기 때문에 결국 내용의 확장 또한 가져왔다고 본다.
                  록 하거나, 틀에 어울리는 새로운 사진을 촬영하여 하나로 병합한다.  자개          사진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세계예술 시장에서 한국 사진가와 사진 작
                  프레임의 문양이나 색이 모두 달라 흑백사진과 컬러 사진을 병행하고 있다.           품의 위상은 어느 정도 위치에 있다고 보는가.
                  <Mother-of-Pearl>은 작품의 프레임이 독특하다. 이 작품에서 자개 프      2004년 영국 버밍햄에서 있었던 국제사진페스티벌의 포트폴리오 리뷰에
                  레임은 사진으로부터 무언가를 독립시키는 형태적인 것인 반면, 사진에              참가했었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사진은 미술의 변방이었는데 어느덧
                  서 표출하고자 하는 것을 보다 강화시킨다. 프레임을 통해 작품을 새롭게            현대 미술의 중심에 사진이 있었고 컬렉션의 대상이 되어있어 놀라웠다.




                                                                                                                    53




         vol.46.indb   53                                                                                          2017-08-23   �� 6:05:43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