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7 - 월간사진 2017년 12월호 Monthly Photography Dec 2017
P. 57

(116-119)스페셜3-미니멀리즘in Art_최종_월간사진  2017-11-21  오후 1:17  페이지 117





































                                                        현대 무용계의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로 꼽히는 안느 테레사 드 케이르스마커의 <Fase>










                   무용예술과 일상생활의 경계를 무너뜨린,
                   존 케이지의 연인이자 예술적 동반자였던 머스 커닝햄








                                                        무용 / 오로지 몸짓에 집중하다

                                                        1950년대 유행하던 ‘추상표현주의’에 반발해서 생겨난 것이   prin, 1920~)이 있다. 무용예술과 일상생활의 경계를 무너뜨
                                                        1960년대의 미니멀리즘 미술이다. 음악과 마찬가지로 미국에   린 존 케이지의 연인이자 예술적 동반자였던 머스 커닝햄
                                                        서 발생된 ‘미니멀리즘 무용’ 역시 이와 비슷한 궤도를 밟았다.  (Merce Cunningham, 1919~2009)도 빼놓을 수 없다.
                                                        초창기 미국 무용은 고전발레를 비롯해 고리타분하고 창의력
                                                        을 중시하지 않는 발레교육에 반대한 무용가들에 의해서 시작    미니멀리즘 무용이 형태를 갖추게 된 건 핼프린과 커닝햄 같은
                                                        됐다. 이때의 무용가들은 자신들의 움직임에 개인의 감정과 사   선배들로부터 영향을 받아 1962년 창단된 저드슨 무용단의
                                                        회적 메시지를 담았다. 극적인 표현도 특징이었다. 하지만     공이 크다. 이본 레이너(Yvonne Rainer, 1934~), 트리샤 브라
                                                        1950년대 말 이에 대항하는 새로운 무용이 등장했다. 미니멀  운(Trisha Brown, 1936~), 스티브 팩스톤(Steve Paxton,
                                                        리즘 미술과 음악이 보여줬던 것처럼, 극도로 단순한 몸짓을 반  1939~), 루신다 차일즈(Lucinda Childs, 1940~) 등으로 구성
                                                        복하는 미니멀리즘 무용이 바로 그것이다.              된 저드슨 무용단은 ‘정확한 연기 묘사나 환상적인 미학 창조
                                                                                            등의 목표와, 인물성격 묘사, 스토리 묘사, 연극적 설명, 과도한
                                                        기교가 아닌 무용의 본질, 다시 말해 ‘있는 그대로의 몸짓’에 집  표현주의 등을 포기하는 대신, 무용예술의 가장 본질적이며 근
                                                        중하겠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레디메이드를 예술작품으로     본적인 구조만 나타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격상시킨 미니멀리즘 미술처럼, 무용에서도 일상의 모습을 작
                                                        품에 담아냈다. 걷기, 기어 다니기, 달리기, 서 있기 등의 동작  20세기 후반에 와서는 <Fase>(1982)와 <Rosas danst
                                                        이 사용됐고, 교묘함, 뚱뚱함, 병약함 등이 표현됐으며, 행동에  Rosas>(1983) 등의 작품으로 유명한, 현대 무용계의 가장 영
                                                        제약을 주지 않는 의상(청바지, 티셔츠, 트레이닝복 등)을 착용  향력 있는 인물로 꼽히는 안느 테레사 드 케이르스마커(Anne
                                                        했다. 또한, 2~3시간에 육박하던 공연 시간이 짧아졌고, 교회  Teresa De Keersmaeker, 1960~)를 눈여겨봐야 한다.
                                                        와 미술관, 운동장 등이 무대로 사용됐다.
                                                                                            참고 | 이현지, 「미니멀리즘 성향을 나타낸 현대 춤 연구」(2016).
                                                        대표적인 선구자로 공간과 자연의 상호관계를 중시하고 의사     임윤선, 「안네 테레사 데 케어스메케르의 미니멀리즘적 작품에 나
                                                        소통 매체로서의 움직임에 관심을 가졌던 앤 핼프린(Ann Hal-  타난 무용과 음악의 관계 연구」(2015)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