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6 - 제삼의 만남 58호 [창립70주년 특집호]
P. 66

066  ❙  DR.  MOON   칼럼



           연주하게  하였다.


             연주를  마치자  세종은  동양음악  12        률( ) 律  가운데  아홉째  음인  이칙(夷
           則 )  하나가  다른  소리가  난다고  지적하신  것이다 놀란  박연이  이실직고.
           한다 이는  도공이  황종율관에  친  먹줄이  채  마르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
             기가  막힌  음감을  가지신  분이셨다.


             지음(知音   )이란  말이  있다.  내  음악을  알아준다는  말이다.

             무용수의  춤사위를  보고  기가  막힌  슬픔을  묘사하고  있구나 라고  알아‘       ’
           주는  사람이  있는  것처럼  내  음악  속에  무엇이  들어있는지  알아주는  것이
           지음(知音   ) 이겠다 백아절현.    (伯牙絶絃   ) 은  이때  쓰는  사자성어인  것  같다.

             춘추시대  백아(伯牙      ) 라는  거문고  명인이  있었다 그에게는  거문고  소리.
           를  듣고  악상을  잘  이해해주는  친구  종자기(鍾子期           ) 가  있었다.

             어떤  곡을  켜도  종자기는  백아의  악상을  이해하고  감탄했다 백아에게.
           는  자기  음악을  알아주는  친구  종자기가  있어서  거문고를  뜯을  수  있었
           다 그런데  친구  종자기가  병으로  죽자  그  슬픔을  이기지  못하고  거문고 .
           줄을  끊고  만다.


               이제  누가  있어  내  음악을  들어줄꼬.
               나는  더  이상  거문고를  뜯을  수  없네.
               지음(知音 ) 은  바로  그것이다.

               내  음악을  알아주는  사람.

               그러나  그것만일까?
               내  마음을  바로  알아주는  사람.
               내  인생의  춤사위를  보고  함께  슬퍼해  주고  함께  기뻐해  주는  사람.
               지음(知音 ) 은  바로  그것일  것이다.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