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6 - 제5권_Neat
P. 46

표 9. 수원군내 각면의 미곡생산량 (1922년)

                       구분           재배 면적(反)                    수 확 량(石)               단보 당 수확량(合)

                            일반벼     밭벼     찰벼     계     일반벼    밭벼     찰벼      계     일반벼    밭벼     찰벼
                   면별
                     오산     11,664  69     630   12,363  8,298  55     447   8,800  712    797    710
                     수원      329           15     344    293           11     304   891           733
                     일형     10,123  216    564   10,906  7,696  184    412   8,294  800    852    730
                     의왕     5,559    1     241   5,800  4,683          193   4,876  842           801

                     반월     13,745  105    800   14,560  8,934  63     480   9,477  650    600    600
                     매송     8,570   97     572   9,229  5,742   66     360   6,168  670    680    629
                     봉담     8,007   300    500   8,807  6,005   210    342   6,567  750    700    684
                     비봉     8,560          357   8,917  6,848          258   7,133  800           798

                     음덕     10,470  27     600   11,097  7,852  18     456   8,326   75    667    760
                     마도     6,582          239   6,821  5,596          191   5,787  854           799
                     송산     10,780  55     315   11,140  7,830  44     146   8,120  720    800    781
                     서신     7,206          648   7,854  5,000          421   5,421  694           650
                     팔탄     9,362          385   9,747  7,611          250   7,861  813           649
                     장안     9,153   84     485   9,722  7,460   58     337   7,855  815    690    695

                     우정     12,346  12     651   13,009  9,469  9      431   9,909  767    750    661
                     향남     10,804  97     591   11,532  8,340  59     450   8,849  769    608    761
                     양감     7,592   95     599   8,286  5,694   67     432   6,193  750    705    721
                     정남     10,899  300    611   11,806  7,082  189    379   7,650  650    630    620
                     동탄     9,919   155    431   10,505  7,994  140    328   8,462  806    903    761

                     태안     13,013  100    617   13,730  10,177  77    463  10,717  782    769    750
                     안용     13,813  175    600   14,588  10,804  123   420  11,347  782    703    700
                      계     198,496  1,888  10,451  210,763 149,408  1,386  7,207  158,106  733  724  714

                                                                        주: 단보 당 수확량의 합계란은 단보 당 평균 수량임
                                                                                    〈자료 : 수원시사, 1986. 1,069쪽〉


                    오산을 포함한 수원군의 영농은 다른 지역에 비해 발전되었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는 일본에 비

                  하여 재배방법, 품종 등에 있어 월등히 뒤지고 있었으며 쌀농사의 개량을 위하여 조신력, 다마금, 곡
                  량도, 석백, 일출(日出) 등 일본품종을 도입하였다. 또 채종장을 설치하여 일반농가에 종자배부 등의

                  노력을 한 결과 95%의 증수실적을 나타내어 연간 2만5천 석을 증산하였다고 하며 벼 재배법이 빠른
                  속도로 개선되고 있었다. 그러나 1925년 단보 당 평균 수량이 1백40kg 수준이었다고 하니 지금의 전
      오산시사
                  국 평균 생산량이 5백kg을 상회하고 있는 것과 비교하면 당시의 벼 재배기술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짐작케 한다.
      제

      5             한편 〈표 9〉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오산지방의 벼 재배면적은 수원군 전체의 6.2%를 점유하여 상당
      권
                  히 넓은 면적이었다. 그러나 미곡생산량은 수원군 전체생산량의 5.6%로 평균생산량에 미치지 못하

     44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