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5 - 제5권_Neat
P. 45

또한 농정조직에 의한 농촌지도사업은 조선총독부의 상공부나 농림국의 농정과, 농무과 등에서 관
                  장하였고 도, 군, 면 등 지방행정조직에 농사기술원(農事技術員)을 두고 마을과 농가에 대한 농업기
                                                                                                                  43
                  술지도를 담당토록 하였는데 1908년 70명이던 농사기술원이 1934년에는 2천3백43명으로 크게 증가
                                                                                                                  산업
                  되었다.

                    다른 한편으로는 학교에 의한 농촌지도를 하였는데 고급전문인력을 양성하는 수원농림학교를 비                                             · 경제
                  롯하여 농업계실업학교, 간이농업학교 등 각종 농업학교에서 전문적인 농업기술인력 양성과 중견농                                              /  보건

                  민의 양성 등 간접적인 농촌지도가 주류를 이루었고 대농민 직접지도는 학생들의 농장실습, 가정영                                            · 환경위생
                  농지도, 졸업생지도, 교사들의 기술지도 형태로 이루어졌다. 1930년대 초부터는 농촌진흥운동을 통

                  해 부족식량의 확보, 현금수지의 균형, 부채의 근절과 경제갱생을 목표로 하여 총독부 농촌진흥위원
                  회로부터 아래로는 부락진흥회에 이르기까지 추진위원회를 구성하여 직접적이며 실천지향적인 지도                                              · 사회복지

                  를 하였다.                                                                                           /  사법





                  3) 농업생산 정책과 영농실태                                                                                · 치안 · 소방



                    (1) 식량증산 정책과 생산실태                                                                             · 언론


                    한일합방 이후 일제는 모든 부문에서 수탈정책을 강화하였다. 특히 조선을 그들에게 부족한 농산
                  물의 공급기지화하는 기본전략을 가지고 자국의 식량공급, 군량미 충당 등을 목표로 1918년부터 3차
                  에 걸쳐 산미증산계획(産米増産計劃)을 세워 추진하는 한편 국내에서는 쌀 소비억제와 미곡 공출제

                  를 실시하였다. 수도작은 그 재배방법이나 재배품종이 예부터 내려오는 그대로를 답습하고 있었기

                  때문에 수확량은 1910년의 경우 단보당 0.77석 정도밖에 안되었고 생산기반 또한 취약하였기 때문에
                  우량품종의 보급, 관개수의 공급 등을 최우선적으로 해결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일제가 식량증산을 위해 처음 실시한 제1차 산미증산계획(1912~1926)은 수리사업에 역점

                  을 두고 농지개량사업을 실시하여 1925년까지 9만 정보의 농지개량을 하였으나 경종법개선, 종자갱

                  신 등 농사개량은 실패하였다. 제1차 증산계획에 9만 정보의 논이 수리화(水利化)되었다고는 하나 노
                  동력의 착취와 수리사업 비용을 갹출하고 수세 등으로 인하여 농민들은 더욱 어려워졌다. 토지는 온
                  갖 수단을 동원하여 일본의 이민 지주가 소유하게 만들어 우리 농민의 대다수가 소작농으로 전락하

                  게 되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1920년대까지 심화되어 반발이 컸다.

                    오산도 이러한 현상은 다른 지역과 다를 바 없었다. 1922년 오산지역의 소작농 실태는 총 경지면적
                  1만9천4백68 정보 중 자작농지 면적은 겨우 5천7백10정보로 29.3%에 불과하고 소작농지 면적이 1만
                  3천7백58 정보로 전체면적의 70.7%를 차지하고 있어 오산지역 대부분의 농민이 소작농으로 전락한

                  상태였다. 특히 밭의 소작면적 비율은 73.2%로 논의 소작비율 69.2%보다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는

                  데 이는 채소를 비롯한 원예작물 재배에 적합하고 토질이 좋은 밭은 당시에 일본인이 강점하고 있었
                  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