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3 - 자치분권_본문_조승현
P. 213

제7절 환경·에너지           진 곳이 아닌 배출원의 영향을 직접 받는 도로변 등에 설치한다.

 제35조(기후변화대응)  ① 파리기후 변화협약 및 지속가능 발전목표  제38조(생태 및 보행환경)  ① 「경기도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

 (SDGs)를 경기도 수준에서 수용·이행할 수 있는 계획을 수립하  한 조례」 등에 근거해 생물다양성 확대를 위한 종합계획을 수립
 고, 정부와 세계 각국 주요 도시와 협력하여 이를 적극 실천한다.  하여 추진한다.

 ② 2020년까지 경기도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배출 전망치 대비   ② 친환경·생태적 대안기술을 융합·연계하여 생태숲 등 자연
 30% 감축을 위한 공공 부분 온실가스 목표관리제 운영, 도내 산  환경과 에너지 자립, 물순환, 자원순환 시스템이 집대성된 ‘경기

 업단지 온실가스 감축 시범사업 운영, 탄소포인트제 운영 등 사  도형 생태마을’을 조성하여 세계적인 환경·생태체험 교육과 지

 업을 추진한다.             속가능한 사회의 쇼케이스 및 생태 컨벤션으로 운영한다.
 제36조(에너지)  ① 핵발전소의 수명 연장 사용과 추가 건설 등을 반  ③ 보행자 위주의 도시 통행 정책 수립을 위하여 「보행 친화 도시

 대하며 경기도에서부터 탈핵과 에너지 전환을 시도하고, ‘에너지   조성 지원 조례」를 제정하고 보행자와 자전거 우선 도로구조, 도
 자립마을’ 확대 등 ‘경기도 에너지비전 2030’의 정책 과제를 성실  시 숲길, 자전거 우선 신호등 등을 설치한다.

 히 이행한다.              ④ 어린이보호구역 및 주민 통행이 많은 곳에서의 효과적인 보행

 ②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통해 소비자가 스스로 전력을   환경 개선정책 수립을 위해 31개 시·군과의 유기적인 협력체계
 생산하고 저장·소비하는 것은 물론 잉여전력을 커뮤니티에서   를 구축·지원한다.

 판매하고 거래하는 ‘에너지 프로슈머’정책의 적극적인 추진을 위  제39조(공원 및 놀이터 환경)  ① 도립공원과 도시공원 관리 업무로

 해 「경기도 에너지 프로슈머 보급 및 지원 조례」를 제정한다.  한정된 경기도 공원 관련 업무 분야를 확대하여 도민들이 쾌적한
 제37조(미세먼지)  산업구조 및 발생원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에 대한   공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대책을 강구한다.

 실효적인 대책을 마련한다.       1. 공원녹지가 기후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탄소흡수, 산소

 1. 초미세먼지 안전도시 조성을 위해 2020년까지 대기오염물질   배출의 허파 구실을 할 수 있도록 잔디와 조경수 식재 위주의 정
 배출 노후 시설을 전면교체하고, 경유버스의 친환경 버스 교체,   원식에서 생태숲 비중이 큰 자연생태공원형으로 조성하도록 하

 미세먼지 측정기 확충 및 성분분석 시스템 구축 등 미세먼지 특  며「도시공원 생태숲 리모델링 지원 조례」를 제정하고 조례에 근
 별대책을 마련한다.           거한 사업을 추진한다.

 2. 대기오염 측정망을 주민센터, 공공건물 옥상 등 배출원과 떨어  2. 도시공원 관리예산 절감은 물론 지역주민과 시민들의 참여 속





 212  자치분권 민주주의 열매를 나누다                             연정으로 보는  김포의 미래   213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