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0 - 20190518
P. 110

<참고>  창의교육과  과정중심평가:  과정중심평가의  필요성  및  특징


                 2016년  교육부에서는  ‘모든  교과를  수행평가로  평가할  수  있다’고  공포한  바  있으며,  2015  개정교육
              과정부터  과정중심평가를  평가의  방향으로  새롭게  제시하였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따르면  과정중심
              평가는  ‘교육과정  성취  기준에  기반한  평가계획에  따라  교수·학습과정에서  학생의  변화와  성장에  대한
              자료를  다각적으로  수집하여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평가로  패러다임의  확장,  결과중심평가와의  대
              비,  교육과정-교수-학습-평가의  연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중심평가의  의미는  크게  세  가지로  해석할  수  있다.  첫째,  과정중심평가는  평가의  패러다
              임을  확장하며,  이는  평가가  수업  속  활동으로  녹아  들어가  수업과  평가가  동시에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과정중심평가에서는  수업과정에서  평가를  동시에  실시함으로써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핵
              심역량  등  다양한  특성을  확인하고  기록할  수  있다.  또한  평가의  패러다임을  확장함으로써  평가  결과를
              활용할  수  있는  범위도  넓어진다.  과거에는  평가의  결과를  성적으로  산출하는  등  제한적으로만  활용하
              였지만,  과정중심평가는  평가의  결과를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위한  피드백으로  활용할  수  있다.  즉  학
              생들에게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평가  결과가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돕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러한  변화는  학습  결과에  대한  평가(assessment  of  learning)에서  학습으로서의  평가(assessment  as
              learning),  학습을  위한  평가(assessment  for  learning)로  평가의  개념이  변화됨을  의미한다.
                 둘째,  학습의  최종결과만을  평가하는  결과중심  평가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학생의  문제해결과정에  중
              점을  둔다.  즉,  학습의  도착점에서  정답만을  평가하는  것이  아닌,  정답이  나오는  과정을  중시하고,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능력과  핵심  역량을  모두  평가  대상으로  본다.
                 셋째,  교육과정-교수학습-평가의  연계로  설명할  수  있다.  교수학습과  평가의  연계는  시간과  내용  두
              부분의  연계를  모두  의미한다.  시간적  연계는  수업의  한  부분으로  포함하여  진행한다는  의미이다.  중간
              -기말고사처럼  평가를  위한  시간을  별도로  운영하지  않고  수업  과정에서  평가가  함께  이루어진다.  내용
              적  연계는  수업  내용과  평가의  연계를  의미한다.  교수  학습과  평가의  연계를  위해서는  먼저  교육과정과
              교수-학습이  연계되어야  한다.  수업과정  중에  평가하기  위해서는  차시  및  단원의  내용을  재구성할  필요
              가  있다.  차시  및  단원의  내용을  재구성하는  것이  교육과정  재구성이며,  이를  통하여  교육과정과  교수-
              학습의  연계가  이루어진다.  즉  과정중심  평가는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평가의  연계,  다시  말해  교육과
              정-수업-평가가  일체화될  때  가능한  것이다.
                 과정중심평가는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위한  도구로서  평가의  역할을  강조하며,  수업  과정에서  다양한
              평가  방법을  활용하여  인지적,  정의적,  핵심  역량  등을  평가해야  한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따르면  과
              정중심  평가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①  성취  기준에  기반을  둔  평가
                 ②  수업  중에  이루어지는  평가
                 ③  수행  과정의  평가
                 ④  지식,  기능,  태도의  인지적,  정의적  영역까지  포함하여  종합적으로  평가
                 ⑤  다양한  평가방법을  통한  학생의  다양한  측면  파악
                 ⑥  학습자의  발달을  위한  평가  결과  활용

                 이러한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정중심평가는  평가의  내용에서  통합적  지식  및  기능,  태도,  핵심  역량에  대한  평가를  강조하
              고  있다.  이는  과정중심평가가  단순히  학습자의  지식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습득한  지식을  융합하고
              활용하여  역량으로  나타낼  수  있는가를  주요한  평가  대상으로  삼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수업  안에서  수업의  활동으로  다양한  평가방법을  활용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평가의  주




             102
             100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