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4 - 20190518
P. 74
(1) 창의교육 실천 연수 프로그램의 구성 방향 및 특징
역량(competence)이란 단순한 지식이나 기능을 넘어, 자신이 배운 것을 적절한 맥락에서 활용할 줄 아
는 능력을 가리킨다(Rychen & Salganik, 2003). 현재 시행중인 2015개정교육과정은 핵심역량을 공식적
으로 표방한 첫 교육과정 문서로서, 학생들에게 중점적으로 길러주고자 하는 핵심역량들을 명시하고 있다.
이러한 핵심역량 중 합리적인 문제 해결을 위하여 다양한 영역의 지식과 정보를 처리하고 활용하기 위한
‘지식정보처리역량’과 다양한 분야의 학문적인 융합을 통하여 새로운 것을 추구하기 위한 ‘창의적 사고 역
량’은 자기관리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과 함께 2015 개정교육과정에서 강조
하고 있는 주요 핵심 역량들이다(교육부, 2015). 국내외의 연구들은 이러한 지식정보처리역량과 창의적 사
고 역량이 개인의 학업적, 직업적 성취는 물론 미래 사회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비하기 위하여 국가경쟁
력을 높이는 데에도 특별히 중요한 역량이라고 보고하고 있다(Ananiadou & Claro, 2009).
본 연수에서의 중심 주제인 창의 플러그드 실천적 전략 모형은 이러한 지식정보처리역량과 창의적 사고
역량을 향상시키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지식정보처리역량은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영역의 지식과 정보를 처리하고 활용할 역량을 가리키는데, 이와 직결되는 기술은 바로 정
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이라 할 수 있다(Voogt & Robin, 2012).
따라서 본 연수에서는 그 내용으로서 최신의 ICT 기술을 그 내용으로 다루었으며, 이를 통해 교사는 물론
궁극적으로 학생들의 ICT 관련 지식과 지식정보처리역량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그러나 본 연수에서 더욱 관심을 기울인 부분은 창의적 사고 역량이었으며, 이를 위하여 본 연수는 학생들에
게 어떻게 창의적인 수업을 설계하여 제공할 것인가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었다. 그 이유는, 교육현장과 수업
에서 창의성 교육이 도입되어야 한다는 주장은 일반적으로 ‘창의성을 위한 교수(teaching for creativity)’, 즉
학생이 자신의 창의적 잠재성을 자각하고 이를 창의적 성과물로 구현되도록 돕는 교수를 의미하는데, 이러한
‘창의성을 위한 교수’는 기본적으로 ‘창의적 교수(teaching creatively, 독창적이고 효과적인 교수)’선행되어야
가능하기 때문이다(박선형, 2014). 이러한 창의적 교수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본 연수에서는 주로 ICT 관련
지식을 그 내용으로 다루고 있으나, 이 내용을 창의적으로 가르치기 위한 교수법에 대하여 자세히 기술함으로
써 교사들이 이 수업 기법들을 ICT뿐만 아니라 다른 교과에도 응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지금까지 본 연수가 가지고 있는 목적과 기본적인 방향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이에 더하여 본 연수가 지
니고 있는 특징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표3> 본 연수프로그램의 특징
첨단 ICT기술과 창의적 교수법의 습득을 통한 학생들의 핵심역량 고양
연수 목적
- 다양한 창의적 교수법의 활용을 통한 지식정보기술 소양의 함양
모듈형 구성을 통한 교수-학습에서의 효율화
구성 및 체계
- 기초(5차시) 및 심화(10차시) 단계 중 선택 가능
최신 ICT 기술 및 원리의 습득을 통한 지식정보처리역량 함양
교육 내용
- 시의성을 고려한 ICT 최신 기술 선정 및 소개
교재의 쿡북(cookbook)형 구성을 통한 쉽고 효과적인 교수법 습득
교육 방법
- 제시된 순서를 따라하면 누구나 쉽게 활용 가능
교재 내용을 담은 수업 자료 제공
교육 자료
- 교수자가 쉽게 강의에 활용하도록 수업 자료 제공
일반학생은 물론 다양한 학습자를 고려
교육 대상
- 교육과정 적합화 및 교수적 적합화를 통한 수업방법 제시
이하에서는 이러한 특징들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교재가 가지고 있는 특징은 크게 5가
지가 있다.
66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