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2 - 2019년08월전시가이드
P. 32

이주연 컬럼


        학교미술교육에서 동시대 미술에의 접근.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1. 미술교육을 통한 동시대 미술의 이해(I): 초·중등 미술 교과서에서의 동시대 미술
        2. 미술교육을 통한 동시대 미술의 이해(II): 미술교육자에게 묻다. 그들이 바라보는 학교미술교육에서의 동시대 미술과 이의 교육
        3. 미술교육을 통한 동시대 미술의 이해(III): 학교미술교육에서 동시대 미술에의 접근.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글 : 이주연(경인교육대학교 교수)
                                교 6학년 미술 교과서에 현대 미술     는 21세기를 살고 있는 학생들을 위    험이나 표현 학습으로 제시하고 있
                                이 결국 소개될 수 있었다.         하여 현재의 미술에 대한 학습 내용     는데, 학교급별에 따른 차별화를 어
                                                        이 초·중등학교 미술 교과서의 감상     떻게 고려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
                                이러한 변화를 이끈 원동력은 다양      단원을 기준으로 볼 때 기존과 별반     도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겠으나,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부     다르지 않다는 것이며, 이에 대한 문    이러한 요구와 필요성에 터하여 학
                                터 초·중등학교 미술과 내용 체계가     제제기도 잘 이루어지지 않다는 데      교미술교육에서  현대  미술과  동시
                                학교급별로 차이가 있던 이전과 달      있다. 21세기를 앞두고 발행된 제6    대 미술의 학습이 어떻게 이루어져
                                리, ‘미적 체험’, ‘표현’, ‘감상’ 영역으  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미술  야 하는가, 즉, 무엇을 어떻게 접근해
                                로  통일되어  초등학교의  감상교육    I  교과서(1996년  발행)(검정)의  경  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를 3차에 걸
                                이 중등학교의 감상교육에 영향 받      우 감상 단원에서 20세기 현대 미술    쳐 펼쳐보려 한다.
                                은  탓도  있을  것이다.  또한  밀레니  을 장르별로 구분하고 마지막 부분
        장윤우(초3), 사람             엄을  맞이하여  미국의  ‘The  Goals   에 1960년대 후반에 등장한 비디오   동시대 미술은 무엇인가. 왜 동시대
        13×12.5×3.5cm, 찰흙, 2019  2000: Educate America Act’와 같  아트, 하이퍼 리얼리즘(극사실주의),   미술에 대한 학습이 필요한가. 이에
                                이,  세계  각국이  새로운  시대를  위  대지미술 등을 제시하였는데, 2015   대한 내용은 두 번째로 제시될 <미
        중등미술교육에서 20세기 현대 미      한  패권  경쟁의  최대  무기로  교육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미     술교육을 통한 동시대 미술의 이해
        술은 아주 오래 전부터 감상 영역인     을 앞세워 열을 올리던 시기에 우리     술 교과서 감상 단원에서도 기존의      (II): 미술교육자에게 묻다. 그들이 바
        서양미술사  단원에서  다루어졌다.     나라도 이런 경쟁에서 밀리지 않도      현대 미술 분류에 페미니즘, 미디어     라보는 학교미술교육에서의 동시대
        초등미술교육의 경우 현대 미술 관      록  1997년  제7차  교육과정의  고시  아트, 현대 조소, 포스트모던 건축 등  미술과 이의 교육>에서 보다 구체화
        련 내용이 교과서에 본격적으로 등      와 함께 교과서 개발 시 보다 현대적    을 선택적으로 추가했을 뿐 별다른      하여 제시할 예정이지만, 동시대 미
        장한 것은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     인 시각과 관점을 담아야 한다는 의     차이점이  발견되지  않기  때문이다.   술에 대한 정의와 그 학습의 필요성
        교육부, 1997)에 따른 6학년 미술(교  무와 책임 의식이 영향을 끼쳤을 수    따라서 이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      과 중요성은 실제 미술계의 논의와
        육인적자원부, 2002)(국정)의 ‘현대   도 있다. 또한 제5차와 제6차 교육과  기 위해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이 개   맥을  같이  하면서도  학교미술교육
        미술’ 감상 단원부터라고 할 수 있다.   정에 따른 초등학교 6학년 미술 교     정된 지 4년이 지났고 또한 차기 교    에서의 의미를 찾고자 하는 것이니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의 감상 학습      과서에는 다른 나라 작가의 작품이      육과정 개정을 앞두고 있는 지금 이     만큼, 교육학적 관점에서 교수·학습
        은 중등미술교육에서 미술사를 풀어      각각 1점과 6점이 게재된 반면, 제7   때 우리나라의 초·중등학교 미술 교     적 내용과 방법으로 접근해야 할 것
        나가는 연대기적 방식이 아닌 - 현재    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6학  과서에서 현재의 미술을 어떻게 다      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논의의 첫
        의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에서도 선      년 미술 교과서에는 20점이 게재되     루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      번째인 <미술교육을 통한 동시대 미
        호하고 있는 - 특정 미술가들의 창     어 현격한 차이를 볼 수 있는데, 이러   다고 보았으며, 이것이 본 연구의 출    술의 이해(I): 초·중등학교 미술 교과
        의적 표현에 집중하는 이슈 중심의      한 차이는 학생들의 작품보다는 미      발점이 되었다.                서에서의 동시대 미술>로서 학생들
        전개였다. 기존의 제5차 및 제6차 교   술가의  작품을  중심으로  미술교육                            이 현재의 미술에 대해 무엇을 학습
        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6학년 미술     을  주도한  DBAE(Discipline-Based   미술계에서도  현대,  후기  현대,  동  하고 있는지 현행 교육과정인 2015
        교과서의 감상 단원에서 우리나라와      Art Education)의 영향이라고도 볼   시대 미술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
        다른 나라의 미술품을 회화, 조소, 공   수 있다. 그러나 제7차 미술과 교육    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고려할 때,    된  초·중등학교  미술  교과서를  통
        예 분야로 구분하고 한 작품씩 보여     과정부터 초·중등학교 미술과 내용      초·중등미술교육 감상 단원의 미술      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미
        주며 비교했던 것과 견주어볼 때, 제    체계가 통일되면서 현대 미술에 대      사 이해 학습에 이를 명확히 구분하     술 교과서의 경우 미술사를 연대기
        7차 미술과 교육과정의 ‘현대 미술’    한 학습 내용과 수준이 점차적으로      여 넣는 것은 무리가 있다. 그렇기 때   별로 제시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현
        은 획기적인 전환을 보여주는 것이      유사해짐에 따라, 학년별, 학년군별,    문에 현 중등학교 미술 교과서의 경     재의 미술을 논할 때 단편적이고 부
        었다. 지금의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     학교급별 학습 내용의 차별화가 다      우 감상 단원 속 미술사 이해 학습 가   분적일 수밖에 없어 여기에서는 이
        와 비교하면 그 차이가 미미할지 모     시 필요해졌다. 그러나 이는 미술과     운데 20세기 현대 미술의 연대기적     에 대한 논의에서 제외시켰음을 밝
        르겠으나, 기존의 제5차나 제6차 교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구분에서 동시대 미술을 제외시키면      힌다.  그러나  미술교육자를  대상으
        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미술 교과      을  보다  구체화하면서  해결해나갈    서도 이의 영향력을 고려하여 체험      로 한 두 번째 논의부터는 초등학교
        서와는 전혀 다른 감각의 내용과 편     수  있는  것이기는  하나,  차기  교육  이나 표현 단원에서 부분적으로 다    급을 포함하여 현재의 미술을 어떻
        집이었다. 이 당시 국정 미술 교과서    과정에서는  초·중등학교  미술교육     루고 있는데, 무엇이 학생들의 동시     게 제시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로서  전통미술이  더욱  강조되어야    의 내용 체계간 통일성을 유지하면      대 미술에 대한 이해를 위해 바람직     심도 깊은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하며  미술의  정통성이  미술교육에    서도 학년별, 학년군별, 학교급별 특    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도 그대로 유지되어야 한다고 주장      성과 수준에 따른 교수·학습 내용과     또한  초등학교의  경우  중등학교와
        한  미술교육자들이  있었으나,  우여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유사하게 동시대 미술을 미술 교과
        곡절 끝에 2002년 발행되는 초등학    이보다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문제      서에 소통이나 지각 등의 주제로 체


        30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