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4 - 2019년08월전시가이드
P. 34

이주연 컬럼


        중등학교 미술 교과서 감상 단원 서양미술사 속 21세기 미술/동시대 미술의 예:


        <중학교>                   <고등학교>
                                                                    하는  우리나라    Brush(2016),  ‘새로운  매체와  미술
                                                                    동시대  작가들    의 변화’ 단원의 ‘향유, 나누어 누리
                                                                    은  20세기  전  다’(미디어 파사드, 2016)가 더 근작
                                                                    반에  국한되어    이지만, 이러한 미술의 흐름을 고려
                                                                    소개하고  있는    하여 감상 단원에 추가적으로 제시
                                                                    우리나라 근·현    한 것으로 보인다. <그림 11>은 고등
                                                                    대 미술에도 속    학교 미술 교과서에 제시된 것으로, ‘
                                                                    하지 못할 뿐만    현대 미술, 상호 작용하며 진화하다’
                                                                    아니라, 백남준    단원 안에 ‘진화하는 동시대 미술’을
                                                                    을 제외하고 서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양 작가 위주로
                                                                    서술된 서양 미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동시대의 미술
                                                                    술에도  속하지    은 끊임없이 새로움을 추구하고 있다.
                                                                    못하여 감상 단    동시대 미술에서는 재현과 표현을 넘
                                                                    원에서는  아예    어 사고(idea)를 중시하고, 소재, 기법,
                                                                    배제될  수밖에    매체의 획기적인 전환과 주제, 공간, 형
                                                                    없다는 점이다.    식의 확장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오늘
        <그림 10> 중학교 미술 ②(최정아 외 7인, 2018b: 96)  <그림 11> 고등학교 미술(서예식 외 27인, 2018: 106)  이는 비단 작  날 많은 미술가들은 ‘사회와 연결된 미
                                                                     가 개인의 문    술’, ‘공동체 기반의 미술’, ‘참여와 협업
                                                                     제에  국한되    의 예술’을 추구하고 있다. 이제 미술은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따른    양 미술’, ‘서양 미술’로 구분하고, ‘우            지  않고  우리   인과 삶의 관계를 중시하며 조형의 범
        중등학교 미술 교과서의 감상 단원      리 미술’ 안에 ‘근·현대’를, ‘서양 미술’  나라의 동시대 미술을 포함한 현재   위를 넘어 문화와 언어의 차원으로 이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따른    의 ‘현대’ 속에 비디오·컴퓨터 아트,   의 미술에 대한 불균형적인 시각을      동하고 있다. 앞으로 우리가 경험하게
        중등학교 미술 교과서 감상 학습을      퍼포먼스(행위미술),  환경  미술·대   노출시키면서 더 큰 문제점을 야기      될 미술은 장식적이고 표현적인 미술
        위한 미술사 이해 단원을 분석한 결     지 미술을 마지막으로 제시하고 있      할 수 있다.                 보다 작품의 맥락과 문화적 특수성을
        과, 세계 미술 혹은 서양 미술 안에    다. <그림 8>의 경우 감상 단원을 ‘                          강조한 내용을 더 많이 담아낼 것이다.
        서 동시대 미술을 부분적으로 포함      한국 미술’, ‘동양 미술’, ‘서양 미술’로   감상  단원에서  연대기적  미술사의   그래서 미술은 어떤 한 사람에 의해 정
        하여 현대 미술을 다루고 있었다. <    구분하고, ‘한국 미술’ 안에 ‘근·현대’  제시  자체가  불필요하다는  시선도   의되거나 특정한 양식으로 해석될 수
        그림 1>의 경우 감상 단원 내용을 ‘   를, ‘서양 미술’의 ‘현대’ 속에 여성주  있겠으나, 학습의 한 요소로서 이러    없는 통합적 예술로 나아가고 있다.
        우리나라 미술’, ‘동양 미술’, ‘서양 미  의 미술, 비디오 아트(미디어 아트),   한 교육 내용이 유지되어 온 나름의   (서예식 외 27인, 2018: 106)
        술’로 구분하고, ‘서양 미술’ 속에 ‘20  퍼포먼스, 대지 미술, 포스트모더니   이유가 있다면 이에 대한 추가적인
        세기 전반의 현대 미술’, ‘20세기 후  즘 건축을 마지막으로 제시하고 있      논의도 필요해 보인다. 이에 대한 하    이는 학교미술교육에서 동시대 미술
        반과 오늘날의 미술’을 구분하여 다     다. <그림 9>의 경우 감상 단원을 ‘  나의 대안을 <그림 31>에서는 잘 보   을 소개하는 데 가장 정확한 정의라
        루면서 마지막에 비디오 미술, 대지     한국 미술’, ‘동양 미술’, ‘서양 미술’  여주고 있는데, 현대 미술에 담긴 전  고 할 수 있다. 2015 개정 미술과 교
        미술, 개념 미술을 제시하고 있다. <   로 구분하고, ‘한국 미술’ 안에 ‘근대   통의 흔적으로서 무엇을 어떻게 계     육과정의 고등학교 감상 영역의 핵
        그림 2>의 경우 감상 단원에서 대지    미술’과 ‘현대 미술’을, ‘서양 미술’ 속  승,  발전시켜야  하는가를  연계한다  심 개념 ‘이해’가 ‘미술문화의 교류’를
        미술,  비디오  아트,  신표현주의,  개  에 ‘20세기의 미술’로 비디오 아트,   면  연대기적  미술사를  보완하거나   설명하고 있지만, 미술사의 개념 자
        념 미술 등을 끝으로 20세기 미술     대지 미술, 현대 조소를 마지막으로     혹은 이러한 구분에서 벗어나 과거      체에서 이를 연계하여 동시대 미술
        을 제시하고 있다. <그림 3>과 <그   제시하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 20세    의 정신을 이어가는 미술을 학생들      을 설명하고 있는 점은 교육과정의
        림 4>의 경우 감상 단원을 ‘우리 미   기 현대 미술을 마지막으로 제시하      이 스스로 발견하고 과거, 현재, 미    이해 측면에서 환영할 만한 일이며,
        술’, ‘아시아 미술’, ‘서양 미술’로 구분  고 있는데, 이런 방식은 제5차나 제  래의 미술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또한 보다 진화된 미술사 개념 정립
        하고, ‘우리 미술’에서는 ‘근·현대 미  6차, 제7차, 2007 개정, 2009 개정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에 도움이 된다고 본다. 특히 매체 융
        술’을 함께 다루었으며, ‘서양 미술’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  교과서에서                            합의  측면에서보다는  (지역)사회와
        에서는 ‘현대 미술’의 마지막에 미니    의 현대 미술 내용과 다를 바가 없다.   21세기 혹은 동시대 미술을 감상 단    의 연계, 참여와 협업이 핵심인 공동
        멀 아트, 개념 미술, 대지 미술, 미디                          원에 추가하여 제시한 교과서도 있      체 기반의 미술로서 동시대 미술을
        어 아트, 현대 조소를 제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볼 수 있는 또 다른 문제     었다. <그림 10>은 중학교 미술 교   설명하고 있는 점, 매체 미술인 비디
        <그림 5>의 경우 감상 단원을 ‘우리   점은 우리나라 미술, 동양 미술, 서    과서에  제시된  ‘21세기  동시대  미  오 미술 등을 미술사의 최근 경향으
        나라 미술’, ‘아시아 미술’, ‘서양 미술’  양 미술의 구분이 언뜻 자연스러워   술’로,  ‘전통  매체와  뉴미디어의  공  로 선정한 기존 미술 교과서의 현대
        로  구분하고,  ‘변화와  혁신의  20세  보이지만, 현대 미술의 주류로 서양   존’을  함께  논하고  있다.  여기에서  미술 범위를 주제 중심으로 강하게
        기 미술’에 비디오 아트, 대지 미술,   미술을  논함으로써  자연히  우리나    는 교과서에 많이 등장하는 작가인      연계시키고 있는 점도 차별화된 접
        현대 조각과 건축을 마지막으로 제      라 미술을 주변적 하위문화로 규정      Beesley의 ‘착생 식물원’(2013)을 제  근이라고 할 수 있다.
        시하고 있다. <그림 6>과 <그림 7>  짓는 것처럼 비춰진다는 점이다. 또     시하고 있는데, 시대적인 순서로 본
        의 경우 감상 단원을 ‘우리 미술’, ‘동  한 이런 구분에 의하면 활발히 활동    다면 ‘가상공간 속으로’ 단원의 Tilt


        32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