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4 - 2019년08월전시가이드
P. 34
이주연 컬럼
중등학교 미술 교과서 감상 단원 서양미술사 속 21세기 미술/동시대 미술의 예:
<중학교> <고등학교>
하는 우리나라 Brush(2016), ‘새로운 매체와 미술
동시대 작가들 의 변화’ 단원의 ‘향유, 나누어 누리
은 20세기 전 다’(미디어 파사드, 2016)가 더 근작
반에 국한되어 이지만, 이러한 미술의 흐름을 고려
소개하고 있는 하여 감상 단원에 추가적으로 제시
우리나라 근·현 한 것으로 보인다. <그림 11>은 고등
대 미술에도 속 학교 미술 교과서에 제시된 것으로, ‘
하지 못할 뿐만 현대 미술, 상호 작용하며 진화하다’
아니라, 백남준 단원 안에 ‘진화하는 동시대 미술’을
을 제외하고 서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양 작가 위주로
서술된 서양 미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동시대의 미술
술에도 속하지 은 끊임없이 새로움을 추구하고 있다.
못하여 감상 단 동시대 미술에서는 재현과 표현을 넘
원에서는 아예 어 사고(idea)를 중시하고, 소재, 기법,
배제될 수밖에 매체의 획기적인 전환과 주제, 공간, 형
없다는 점이다. 식의 확장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오늘
<그림 10> 중학교 미술 ②(최정아 외 7인, 2018b: 96) <그림 11> 고등학교 미술(서예식 외 27인, 2018: 106) 이는 비단 작 날 많은 미술가들은 ‘사회와 연결된 미
가 개인의 문 술’, ‘공동체 기반의 미술’, ‘참여와 협업
제에 국한되 의 예술’을 추구하고 있다. 이제 미술은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따른 양 미술’, ‘서양 미술’로 구분하고, ‘우 지 않고 우리 인과 삶의 관계를 중시하며 조형의 범
중등학교 미술 교과서의 감상 단원 리 미술’ 안에 ‘근·현대’를, ‘서양 미술’ 나라의 동시대 미술을 포함한 현재 위를 넘어 문화와 언어의 차원으로 이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따른 의 ‘현대’ 속에 비디오·컴퓨터 아트, 의 미술에 대한 불균형적인 시각을 동하고 있다. 앞으로 우리가 경험하게
중등학교 미술 교과서 감상 학습을 퍼포먼스(행위미술), 환경 미술·대 노출시키면서 더 큰 문제점을 야기 될 미술은 장식적이고 표현적인 미술
위한 미술사 이해 단원을 분석한 결 지 미술을 마지막으로 제시하고 있 할 수 있다. 보다 작품의 맥락과 문화적 특수성을
과, 세계 미술 혹은 서양 미술 안에 다. <그림 8>의 경우 감상 단원을 ‘ 강조한 내용을 더 많이 담아낼 것이다.
서 동시대 미술을 부분적으로 포함 한국 미술’, ‘동양 미술’, ‘서양 미술’로 감상 단원에서 연대기적 미술사의 그래서 미술은 어떤 한 사람에 의해 정
하여 현대 미술을 다루고 있었다. < 구분하고, ‘한국 미술’ 안에 ‘근·현대’ 제시 자체가 불필요하다는 시선도 의되거나 특정한 양식으로 해석될 수
그림 1>의 경우 감상 단원 내용을 ‘ 를, ‘서양 미술’의 ‘현대’ 속에 여성주 있겠으나, 학습의 한 요소로서 이러 없는 통합적 예술로 나아가고 있다.
우리나라 미술’, ‘동양 미술’, ‘서양 미 의 미술, 비디오 아트(미디어 아트), 한 교육 내용이 유지되어 온 나름의 (서예식 외 27인, 2018: 106)
술’로 구분하고, ‘서양 미술’ 속에 ‘20 퍼포먼스, 대지 미술, 포스트모더니 이유가 있다면 이에 대한 추가적인
세기 전반의 현대 미술’, ‘20세기 후 즘 건축을 마지막으로 제시하고 있 논의도 필요해 보인다. 이에 대한 하 이는 학교미술교육에서 동시대 미술
반과 오늘날의 미술’을 구분하여 다 다. <그림 9>의 경우 감상 단원을 ‘ 나의 대안을 <그림 31>에서는 잘 보 을 소개하는 데 가장 정확한 정의라
루면서 마지막에 비디오 미술, 대지 한국 미술’, ‘동양 미술’, ‘서양 미술’ 여주고 있는데, 현대 미술에 담긴 전 고 할 수 있다. 2015 개정 미술과 교
미술, 개념 미술을 제시하고 있다. < 로 구분하고, ‘한국 미술’ 안에 ‘근대 통의 흔적으로서 무엇을 어떻게 계 육과정의 고등학교 감상 영역의 핵
그림 2>의 경우 감상 단원에서 대지 미술’과 ‘현대 미술’을, ‘서양 미술’ 속 승, 발전시켜야 하는가를 연계한다 심 개념 ‘이해’가 ‘미술문화의 교류’를
미술, 비디오 아트, 신표현주의, 개 에 ‘20세기의 미술’로 비디오 아트, 면 연대기적 미술사를 보완하거나 설명하고 있지만, 미술사의 개념 자
념 미술 등을 끝으로 20세기 미술 대지 미술, 현대 조소를 마지막으로 혹은 이러한 구분에서 벗어나 과거 체에서 이를 연계하여 동시대 미술
을 제시하고 있다. <그림 3>과 <그 제시하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 20세 의 정신을 이어가는 미술을 학생들 을 설명하고 있는 점은 교육과정의
림 4>의 경우 감상 단원을 ‘우리 미 기 현대 미술을 마지막으로 제시하 이 스스로 발견하고 과거, 현재, 미 이해 측면에서 환영할 만한 일이며,
술’, ‘아시아 미술’, ‘서양 미술’로 구분 고 있는데, 이런 방식은 제5차나 제 래의 미술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또한 보다 진화된 미술사 개념 정립
하고, ‘우리 미술’에서는 ‘근·현대 미 6차, 제7차, 2007 개정, 2009 개정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에 도움이 된다고 본다. 특히 매체 융
술’을 함께 다루었으며, ‘서양 미술’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 교과서에서 합의 측면에서보다는 (지역)사회와
에서는 ‘현대 미술’의 마지막에 미니 의 현대 미술 내용과 다를 바가 없다. 21세기 혹은 동시대 미술을 감상 단 의 연계, 참여와 협업이 핵심인 공동
멀 아트, 개념 미술, 대지 미술, 미디 원에 추가하여 제시한 교과서도 있 체 기반의 미술로서 동시대 미술을
어 아트, 현대 조소를 제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볼 수 있는 또 다른 문제 었다. <그림 10>은 중학교 미술 교 설명하고 있는 점, 매체 미술인 비디
<그림 5>의 경우 감상 단원을 ‘우리 점은 우리나라 미술, 동양 미술, 서 과서에 제시된 ‘21세기 동시대 미 오 미술 등을 미술사의 최근 경향으
나라 미술’, ‘아시아 미술’, ‘서양 미술’ 양 미술의 구분이 언뜻 자연스러워 술’로, ‘전통 매체와 뉴미디어의 공 로 선정한 기존 미술 교과서의 현대
로 구분하고, ‘변화와 혁신의 20세 보이지만, 현대 미술의 주류로 서양 존’을 함께 논하고 있다. 여기에서 미술 범위를 주제 중심으로 강하게
기 미술’에 비디오 아트, 대지 미술, 미술을 논함으로써 자연히 우리나 는 교과서에 많이 등장하는 작가인 연계시키고 있는 점도 차별화된 접
현대 조각과 건축을 마지막으로 제 라 미술을 주변적 하위문화로 규정 Beesley의 ‘착생 식물원’(2013)을 제 근이라고 할 수 있다.
시하고 있다. <그림 6>과 <그림 7> 짓는 것처럼 비춰진다는 점이다. 또 시하고 있는데, 시대적인 순서로 본
의 경우 감상 단원을 ‘우리 미술’, ‘동 한 이런 구분에 의하면 활발히 활동 다면 ‘가상공간 속으로’ 단원의 Tilt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