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7 - 2019년08월전시가이드
P. 37
<그림 27> 고등학교 미술(조우호 외 4인, 2018: 30-31) <그림 28> 중학교 미술 ①(연혜경 외 6인, 2018a: 38-39)
대한 이해와 미술비평으로 핵심 개
념이 분류되어 있어 이것이 교과서
의 각기 다른 단원으로 제시되어 있
는데, 이는 단원으로 구분하지 말고
함께 논의되어야 더 가치가 있으므
로 이에 대한 미술교육자들의 의견
도 필요하다.
참고문헌
<그림 29> 중학교 미술 ② <그림 30> 중학교 미술 ① <그림 31> 중학교 미술 ②
(김용주 외 8인: 2018b: 12) (김인규 외 12인, 2018a: 34) (김선아 외 7인, 2018b: 86) 교육과학기술부(2011). 미술과 교육과
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
호 [별책 13]. 교육부(1997). 미술과 교
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별
책 13]. 교육부(2015). 미술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13].
인 의미에서의 표현 영역에서 주제 데, 출판사별 특성을 고려한다고 하 넷째, 현행 중등학교 미술 교과서에
교육인적자원부(2002). 미술 6. 서울:
표현 혹은 조형 요소와 원리와 연계 더라도 체험이나 표현 단원에서 소 서는 대부분 한국 미술, 동양 미술, 대한교과서주식회사. 교육인적자원부
하여 동시대 미술을 선보인 예들도 개한 것을 다시 동시대 미술 큰 특징 서양 미술로 구분된 가운데, 한국 미 (2007). 미술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
있었는데, <그림 27>, <그림 28>, < 으로 분류하여 감상 단원에 제안할 술은 근·현대 미술로 압축시켜 설명 원부 고시 2007-79호 [별책 13].
그림 29>, <그림 30>의 경우가 바 방안이 필요하다. 하고, 대부분의 주류 미술은 서양 미
로 그것이다. 셋째,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술 부분에 집중되어 있다. 문화권별,
의 핵심 역량으로 제시된 창의·융 지역별 구분이 필수적이지 않은데 본 연구에서는 ‘감상교육’, ‘감상 영역’, ‘
앞으로 필요한 논의들 합 역량의 달성을 위하여 다양한 분 여전히 이를 따르고 있다. 보다 균형 감상 단원’, ‘감상 학습’, ‘미술사 이해 학
습’ 등을 함께 썼으나, 명백히 구분하여
지금까지 살펴본 바를 종합해보면, 야 혹은 다양한 매체와의 융합이 강 적 시각을 반영한 카테고리가 무엇
제시한 것이다. ‘감상교육’은 학교교육
다음의 다섯 가지에 대한 논의가 필 조되기 때문에, 동시대 미술 중에서 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을 포함하여 감상을 내용으로 하는 교
요하다. 도 영상 매체, VR 등을 활용한 작품 다섯째, 동시대 미술이 지닌 다양 육 행위를 총괄하여 의미하며, ‘감상 영
첫째, 현행 중등학교 미술 교과서 감 들이 강조되어 있다. 이를 강조한 동 한 특징들을 교육적 차원에서 분류 역’은 미술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체
험, 표현, 감상)의 한 영역을 의미하고,
상 단원 현대 미술의 소개에서 동시 시대 미술로 독립적인 단원을 구성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지역)사회
‘감상 단원’은 교육과정의 감상 영역
대 미술에 대한 언급이 제외되어 있 할 수 있겠으나, 이는 동시대 미술의 참여, 공동체 기반, 협업이나 참여, (
에 중점을 두어 교과서 단원으로 구성
으므로, 이를 포함시킬 방안을 모색 큰 특징이기는 해도 이것이 전부가 영상)매체(융합), VR, 빛, 색채, 전통 된 감상의 대단원, 중단원, 소단원을 모
해야 한다. 아니다. 디지털 매체만을 강조할 경 과의 연계 등이 교과서별로 선택적 두 의미한다. ‘감상 학습’은 일반적인 의
둘째, 현행 중등학교 미술 교과서에 우 전통의 흔적을 발견하고 과거, 현 으로 제시되어 있어 개별적인 특징 미에서 학교에서의 감상 영역 단위 학
습을 의미하며, ‘미술사 이해 학습’은
서는 많은 경우 감상 단원이 아닌, 체 재, 미래를 연계시키는 학습은 요원 은 파악할 수 있으나, 이를 동시대 미
현행 미술과 교육과정의 감상 영역 핵
험이나 표현 단원에서 동시대 미술 해진다. <그림 31>의 경우처럼 과거 술로 보기는 어려우며, 또한 다양성 심 개념(이해, 비평) 중 미술비평을 제
이 제시되어 있다. 특별히 (지역)사 의 정신을 이어가는 미술을 학생들 외에 별다른 특징을 발견하기도 어 외한 미술사 이해에 중점을 둔 학습을
회 참여, 공동체 기반, 협업이나 참여 이 스스로 발견하고 과거, 현재, 미래 렵다. 학생들이 학교미술교육을 통 의미한다.
등 이슈 중심의 주제 표현이거나, ( 의 미술을 이해하는 데 더 집중할 수 해 동시대 미술에서 무엇을 어떻게
영상)매체(융합), VR 등 재료 및 표현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 보아야 하는가에 대한 교육적 접근 “이 원고는 (재)예술경영지원센터의 ‘
시각예술 비평가-매체 매칭 지원 사업’
방법, 혹은 빛이나 색채와 관련된 조 러한 구성은 감상 단원의 내용 개발 이 아쉬운 형편이다. 또한 현행 미술
에 선정되어 게재되었습니다.”
형 요소와 원리 등과 결부되어 있는 시에도 활용 가능하다. 과 교육과정 감상 영역이 미술사에
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