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0 - 전시가이드 2020년 03월호 이북
P. 40
사각 생각 삼각전 | 19. 10. 8 – 3. 10 휘도 판 데어 베르베전 | 3. 6 – 6. 13
서울시립북서울어린이갤러리 | T.02-2124-8928 선민정 초대전 | 3. 11 – 3. 17 송은아트스페이스 | T.02-3448-0100
갤러리라메르 | T.02-730-5454
갤러리라메르 2020년 신진작가 창작지원 당선 작가인 선민정 작가는 자
연의 생성과 소멸이라는 생명의 순환 관계를 중첩된 색과 선을 통해 독특
한 시각으로 풀어내고 있다.
워크북과 동화책 형식의 도록(공동출판 『Trials and Resurrections』는 인간의
나선프레스)을 선보인다. 전시를 구성하 야망에 대한 실존적 이원성과 노력의 무
는 비평적 요소를 교육적 소재로 환원시 의미함을 보여주는 증거이자, 아름다움
켜 작품과 전시를 통한 새로운 교육 모델 과 희망에 대한 인간의 경험에 바치는 영
과 지식을 전파하고자 한다. 예로운 헌사다.
레안드로 에를리치전 | 19. 12. 17 – 3. 31 게리 힐전 | 19. 11. 26 – 3. 8
서울시립북서울미술관 | T.02-2124-5248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 T.031-228-3800
최지윤 초대전 | 3. 18 – 3. 24
갤러리라메르 | T.02-730-5454
엘리베이터, 탈의실, 정원, 보행로 등 일 ‘언어 예술가(Language Artist)’로서 그
상의 친숙한 공간을 소재로 거울 등의 반 The Artist Project 2020의 첫번째 작가로 선정된 최지윤 작가는 동양화의 의 일생에 걸친 사유의 결과물을 통해 열
영 이미지를 이용한 시각적 착시 현상을 정통성과 현대성을 조화롭게 풀어내었다. 탐스러운 봄꽃, 보석으로 감싼 린 상태로서의 언어와 이미지, 신체와 테
통해 인식에 대한 고정관념을 유쾌하게 공작, 그리고 화려한 색감을 통해 '사랑하놋다'를 주제로 사랑의 다양한 감 크놀로지, 가상과 실재공간에 대해 고찰
깨뜨리는 작품을 선보인다. 하는 대표 작품 24점을 소개한다.
정을 보여줄 예정이다.
서울의 전차전 | 19. 12. 20 – 3. 29 박효선 개인전 | 2. 5 – 3. 7
서울역사박물관 | T.02-724-0192 아뜰리에아키 | T.02-464-7710
도시의 기억과 시민의 일상을 회상하는 런던을 주 무대로 활발하게 활동해 온 작
서울역사박물관의 유물 뿐 아니라, 한국 가가 13년만에 여는 전시로 세계적으로
전력공사 전기박물관 소장 보스트위크 주목받고 있는 <밤의 정원>시리즈를 국
사진첩, 한국전력공사 인사처 기록관의 내 무대에 처음으로 선보일 예정으로 작
기록 등이 전시된다. 가의 혼이 담긴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박스 프리뷰 5만원 매월 22일까지 접수 마감
아우슈비츠앨범전 | 1. 30 – 3. 22 HAZZI:花樣年華 | 3. 13 – 4. 5 춤을 춰요전 | 1. 7 – 3. 21 백진 개인전 | 19. 12. 13 – 3. 8
서울역사박물관 | T.02-724-0192 성남아트큐브미술관 | T.031-783-8141 성북어린이미술관 | T.02-6906-3137 아라리오뮤지엄인스페이스 | T.02-760-1742
서울역사박물관 로비에서는 이스라엘 HAZZI는 크리에이티브 아티스트이자 미술의 기초조형요소와 원리를 이해해 백토(白土)물을 굳혀서 만든 판을 일정
야드 바쉠 박물관에 소장되어있는 "아우 아트&패션 디렉터 작가로 사회적 통념 보기 위해 사람의 몸짓과 표현, 식물의 한 간격으로 잘라낸 후, 각각 고유의 모
슈비츠 앨범"을 통해 20세기 최대의 대 과 관습에 질문을 던지며 성별, 인종, 계 움직임, 점·선·면에 담긴 색과 율동감을 양을 지닌 이 도자 파편들을 유닛으로 삼
학살로 꼽히는 홀로코스트의 잔혹함을 급 간의 ‘다름’을 존중하고 경계를 허물 살펴보며 드로잉과 미술의 기초 조형 요 아 캔버스 위에 이어 붙이거나 쌓아서 율
서울 시민들에게 알리고자 한다. 어가는 예술작업을 하고 있다. 소와 원리를 주제로 구성되었다. 동감이 넘치는 화면을 구성한다.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