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9 - 전시가이드 2023년 06월 이북
P. 69

전시  보도자료는  crart1004@hanmail.net  문의 010-6313-2747 (이문자 편집장)
                                                                전시   보도 자료는   cr ar t1004@hanmail.ne t  문의 0 10-6313- 2 7 4 7 (이문자 편집장)





































                          찬란한 미래-R  50×40cm  Mixed media on brass  2022  찬란한 미래-U  91×73cm  Mixed media on canvas  2023




                                     김광숙 작가는 세가지를 기본컨셉으로 우주공간, 행성, 기린의 조합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여러 개의 캔버스가 하나의 조합을 이루는 드라마틱한 다원적인 스팩타클 구도를 설정하여,
                               섹션으로 이루어진 단위가 집합체가 되는 경우도 있는데, 그 안에서 우주 산 기린이 그려진다.




            현대에 와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무엇인가?
            첫째로 어두운 환경적인 요인은 대기의 질의 문제이다. 많은 탄소배출로 날이       요즘 TV 등 미디어에 접할 때마다 하루가 멀다하고 접하는 기사가 환경문
            갈수록 지구의 온난화가 계속돼, 속속 지구의 인간들에게 재앙이 닥쳐온다.        제이다. 지구의 온난화로 인한 여러 문제, 무분별한 쓰레기로 인한  생태계
            둘째로는 무분별한 쓰레기의 배출이다. 지구 환경의 개선: 최근에 강하게 부       의  교란, 또 여러 환경호르몬으로 인한 문제 등 이루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각되는 문제는 미세플라스틱이다. 바다 전체를 오염시키고 있으며, 기형의 동       지구가 몸살을 앓고 있어서, 멸종 동물과 멸종화 되어가고 있는 생명들이 점
            물이 탄생하는 등 생태계의 교란이 성행하기 때문이다.                   점 많아지고 있다.
            세번째로는 환경 호르몬이다, 여기에도 여러 가지 원인이 있지만, 그중 한
            가지는 피서지에서 많은 사람들이 피부에 바른 썬크림에서도 비롯되고, 따         그중의 하나인 기린은 ‘국제기린보호재단’이 점점 개체수가 줄고있는 야생기
            개비 부착방지를 위해서 함선의 표면에 바르는 보호제에서도 그 원인을 찾         린을 보호하기 위해서 낮의 길이기 가장 긴 6월 21을 ‘기린의 날’로 정하여 보
            을 수 있다.                                         호에 앞장서고 있다.

            인류의 찬란한 미래를 위해서는 우리들이 반드시 고려해야할 것은 위와같은         기린은 초식동물로서 남을 해치지도 않지만, 강한 목과 다리로, 사자도 덤비
            문제들을 개선하여 후손에게 물려줄 지구를 깔끔하고 정돈된 세계로 만들어         지 못할 만큼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고 사회성도 좋아, 우리의 마음을 대변할
            여 한다는 것이다.                                      수 있는 매력적인 동물이다.
                                                            또한 꿈해몽도 좋아 기린을 보게 되면 좋은 기운을 받을 것 같기도 하다.
            작가가 보여주는 성산 (기하학적인 오방색 선으로 채색된) 산등성이(ridge)       이런 기린을 비롯한 여러 동물과 식물들이 멸종되지 않고 잘 살아갈 수 있어
            에 위치함)은 화면의 하단부의 약 15%정도의 위치에 반원형의 곡선을 그리       야, 우리  인간도 우리 후손에게 찬란한  미래를 약속할 수 있는 지구를 물려
            며 완성되는 경우와, 산의 모습을 기하학적으로 다루거나 행성의 원형이 두        주리라 생각하며 작품제작에 임하였다.
            개로 만나는 유형으로 제작된다. 어두운 갈색, 혹은 황색으로 이루어진 대지,
            공해로 가득한 공기, 불순한 입자의 범벅이다.                                                        -김광숙 작가 노트-


                                                                                                       67
                                                                                                       67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