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 - 양상철 개인전 2024. 11. 12 – 25. 2. 23 제주돌문화공원내 오백장군갤러리
P. 10

융합하는 속성이 유사하지만 전통을 단절하지 않고 그 기원을 찾아                    Fusion calligraphy: All-encompassing
           떠나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                                        approach for art

           서예와 관련 동양미술의 독창성을 살린 선구자로는 고암 이응노를
           들 수 있다. 그는 1959년 유럽으로 건너가 <카셀 도큐멘타>의                                             Ryu Chul-ha (Exhibition planner)
           형식실험 중 재료의 기법적인 측면에 깊은 인상을 받고, 종이를
           매체로 다루기 시작하였다. 고암은 버려진 잡지의 종이조각을 잘게
           잘라 모자이크 만들 듯이 붙이는 콜라쥬 작업을 통해 독자적인                      Hancheon (penname) Yang Sang-cheol is a self-taught calligrapher
           조형을 추구하였다. 또한 캔버스에 한자의 획(劃) 모양으로 찢은                    who built his career through self-discipline and fearless endeavor
           종이조각을 붙이고 물감으로 색칠을 하면서 추상작업을 마무리                       after winning a student calligraphy contest in the mid-1960s.
           하였다. 1962년 파리 폴 파케티 화랑의 <이응노 콜라쥬>전은 풍부                 Although it was not easy for someone with his unique talents to
           하고 미묘한 색채와 조형성으로 주목받았다.                                forge another path outside the art world, where ties with teachers
           이응노가 만들었던 문자추상은 천연의 바탕을 가진 종이 위로 물질                    and schools are so important, he has established a profession
           적이고 풍화된 듯 보이는 문자가 다양한 색 농도를 가지며 공간적                    in architecture. His art world was formed through continuously
           깊이 감을 만들어 내는 작품이다. 고암 자신은 그것을 ‘비바람에                    honing his skills at nighttime, separating his life and calligraphy.
           닳아 없어져도 흐릿하게 남아있는 글씨’라고 말했다. 서구 미술의                    Hancheon grew up absorbing the rich assets of culture and art
           중심에서 자신의 정체성과 근원을 지속적으로 확인했던 것이다.                      early on through the special guidance of Soam Hyun Joong-
                                                                  hwa and the fame and connections of the art world, such as
           한천 양상철은 시대와 함께 하는 서예의 생명력을 위해 동서양의                     Lee Jung-seop and Chunggang Kim Young-Ki. Until he built his
           재료를 융합해 과감한 형식실험을 진행한 혁신가다. 한천의 실험에서                   career by winning contests and earning the title of Invited Artist
           즉흥적이고 목적 없이 표현된 것 같은 색채 요소들은 자연의 만들                    at prestigious competitions, Hancheon spent decades practicing
           어 낸 수많은 연상(聯想)과 유기적인 형태 속에 하나의 의미 세계를                  calligraphy and creativity just to prove his capability.
           이룰 것이다.                                                 Though it is not hard to imagine the endless challenges he faced
           그가 지속적으로 연구하는 고대 동북아시아의 상징과 문자들은, 그의                   testing his artistic ability, he must have also intuited the stark reality
           건축학적 상상력 속에 운동성을 갖고 공간을 품고 형태를 만들어,                    of calligraphy through his life outside of the art world.
           하나의 우주적인 건축물을 만들 것으로 생각한다. 서예의 새로운
           형식을 만들어 내는 전방위적 건축물이 그의 실험과 전통 탐구에                     The crisis of calligraphy in modern civilization, its ignorance, a so-
           달려 있다.                                                 called ‘uncommunicative text,’ drifts around the real world like
                                                                  a no-public-access sign. Today, calligraphy is becoming like an
                                                                  ‘anachronism’ that chases after the twilight of Oriental civilization.
                                                                  Beyond this anachronism, Hancheon finds a way for modern
                                                                  calligraphy to pursue “public access.” He argues that calligraphy
                                                                  should be developed as ‘art’ from the side of ‘seeing’ rather than
                                                                  ‘reading’ by building up its diverse energy and friction.
                                                                  The ‘seeing’ side of calligraphy refers to the point of contact where
                                                                  the viewer can amply appreciate the work as art and beauty
                                                                  through the eyes of the calligrapher, and to achieve this, calligraphy
                                                                  must be accompanied by the concentrated force (energy) and
                                                                  expressions (friction) of the calligrapher.
                                                                  For the aesthetic expressiveness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it is important to achieve convergence by approaching calligraphy
                                                                  with ‘omnidirectional thinking.’ By ‘omnidirectional thinking,’





           8
   5   6   7   8   9   10   11   12   13   1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