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 - 전시가이드 2025년 01월 이북용
P. 25

빛의공간Ⅴ, 33×11×38cm, 조형도 1245도 소성


            손끝이 예민하게 반응하도록 이끈다. 그러기에 도구를 사용 하는 그림이나
            조각 또는 공예보다 한층 섬세하고 감각적인 감정표출이 가능하다. 이는          투각기법을 기조로 하는 그의 작업은 형태상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흙이라는 재료에 감정이 밀착된다는 걸 말한다.                       첫째는  작품을  온전히  투각기법만으로  작업한다.  둘째는  기하학적인
                                                            구조의  형태에  부분적으로  투각기법을  적용한다.  셋째는  호랑이,  말,
            배상숙의  도조  작업은  좀  색다르다.  무엇보다도  작업  난이도  높은     강아지, 고양이, 사슴, 닭과 같은 동물형상이다. 넷째는 장식적인 그림이나
            투각기법을  활용한다.  투각기법은  고려청자나  조선백자에서  쓰이던         투각을 가미한 인물상이다. 이외에도 세부적으로 보면 좀 더 다양한 형태가
            기법이어서  새롭다고는  할  수  없다.  그럼에도  현대적인  작업에서       존재하게 되는데, 이를 하나의 관점으로 통합했을 때 부드럽고 우아한 곡선
            투각기법을 활용하게 된 건 실용성에 관한 관심에서 비롯되었다. 현대도예         및 곡면 그리고 볼륨이 조형적인 공통점이다.
            또는  현대도조는  작품성,  즉  예술적인  가치에  더  큰  의미를  둠으로써
            실용성이란 측면에서는 미흡한점이 없지 않다. 물론 실용성이 전혀 없는,         작품  전체를  투각기법만을  적용한  작업은  대체로  원형의  형태로
            순전히  예술적인  가치만을  추구한다고  해서  문제시할  건  없다.  높은    만들어진다. 계란형이 있는가 하면 길쭉한 모양, 공 또는 도너츠나 납작한
            예술적인 가치는 때로 장식적인 가치가 될 수 있기에 이 또한 실용적인          빵 모양 그리고 파도처럼 곡면을 가진 모양이 있다. 이들 작업에서 볼 수
            가치에 반한다고는 할 수 없는 까닭이다.                          있는 조형적인 특징의 하나는 이중 또는 삼중으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암튼  투각기법을  조형적인  특징으로  내세우는  건  작가적인  정체성에      즉 공 모양의 둥근 투각이 이중 삼중을 겹치고 있다. 조형적인 난이 도가
            근거를 둔다. 다시 말해 개별적인 형식을 추구하는 예술의 특성상 독특한         높은 중첩의 모양은 전통적인 투각기법에서 진일보한 현대적인 해석이다.
            표현기법을 중심적인 가치로 내세우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다. 표현기법           이중 삼중의 투각이 지어내는 입체감은 기존의 형태 중심의 조형 개념을
            그 자체만으로도 개별적인 형식을 담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의 경우          뛰어넘는다.
            이번  전시에  출품하는  작품  대다수가  투각기법을  적용,  작품을  보면    투각을  이중  삼중으로  만든  건  입체감을  강화하고  기술적인  완성도를
            단박에 누구의 작품 인지 알 수 있을 정도로 특색이 있다. 앞서 말했듯이        개별적인 형식에 접근시키려는 의도이다. 여기에다 실내 등으로 사용하기
            투각기법 자체는 전통적인 기법이어서 독자적인 형식을 보장할 수 있는지          위한  실용성을  고려했다.  실제로  전구에  불이  들어오면  얼개  구조로
            의문이 들수 있다. 하지만 투각이라는 조형적인 특징 또는 기법을 어떻게         이루어지는 아름다운 실내등이 된다. 구멍을 통해 비치는 불빛은 얼개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있는지가 관건이다.                          구조로 인해 매우 아름다운 조형물로서의 가치를 높여준다. 마치 불규칙한


                                                                                                       23
                                                                                                       23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