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9 - 종사총람 수정증보판
P. 179

11. 우리 족보서문(序文)






                      ① 을묘보(乙卯譜:西記  1795年)


                          乙卯譜序.

                          東國之著族이有金氏三十餘派하니惟駕洛國首露王之裔는爲異宗이요餘皆祖新羅大輔金
                           閼智之后也라傳二十七世至敬順王하여衰弱歸高麗하니國絶이라有子八人하니今可記者
                           長子는諫王遜國에不見  廳하고遂遁入楓岳以終하고次子又逃於釋하야自名梵空하고先

                           有子雲發하니後爲羅州金氏하고三子號永芬四子殷悅之后는俱爲慶州金氏하고五子羲城
                           君錫六子江陵君鍵七子彥陽君鐥이니鐥之后는爲彥陽金氏하고第八子諱는錘니封三陟
                           君이라子諱渭翁은封三陟하니其子孫이宗之하여是爲三陟金氏라在麗世에位頗有顯者러

                           니及我朝에微不振하니簪紱奕聯이不及慶羅諸族矣라有譜而未鋟하고且其先蹟이多泯
                           晦不足徵하니余見而悲之라夫新羅三姓相承이九百九十二年에金姓爲王者三十八人이라
                           顧仁恩厚澤이在於東民者甚遠이라今其裔胄繁衍하야名碩踵望이海東之姓에有金最多를
                           於此而驗矣라然이나譬如大樹發氣於根柢者一也而枝幹之滎悴或岐焉하니是逌適然而有
                           是乎아生氣轉幹則悴者亦爲苞矣라余於三陟之金에重爲感焉이라俱足神明之后로獨爲衰

                           替가殆今六七百禔라顧能不失世次하고序其繼緖가若是之燦然하니是는必有賢子孫하여
                           孝悌恂徇不怠以至今也라今又重修其譜하여將以付梓하니即以其孝悌之道로興於後人하
                           여益修而不怠하니於乎라孝悌之道興而其世不昌者는未知聞也라悴枝之轉而爲苞를將於

                           是譜而竣之라余與三陟君之裔孫九  重도善이라袖其譜하고徵序於余甚懇이어널略述其
                           世하고更以是語로復之하노라

                          歲乙卯菊秋上浣에弘文館校理西原韓用鐸은謹序하노라





                           을묘보  서문(乙卯譜  序文)

                           우리  동국(東國)의  저명한  씨족  가운데  김씨(金氏)가  三十여  파(派)나  되는데  그

                            중 가락국(駕洛國) 수로왕(首露王)의 후손은 다른 종파(宗派)요 나머지는 모두 신
                            라 대보(大輔) 김알지(金閼智)의 후예이다. 二十七세를 전해 경순왕(敬順王)에 이
                            르러  나라가  쇠약해져  고려에  귀부(歸附)하니  나라가  망하게  되었다.  아들  여덟
                            명이 있었는데 지금 기록이 있는 장자(長子)는 왕에게 손국(遜國)하기를 간(諫)하

                            다  들어주지  않자  마침내  풍악산(楓岳山)으로  들어가  생애를  마치고  차자(次子)
                            는  또  중이  되어  스스로  이름을  범공(梵空)이라  하였는데  앞서  아들  운발(雲發)
                            이 있어 후에 나주김씨(羅州金氏)가 되고 셋째 아들 호(號) 영분(永芬)과 넷째 아
                            들 은열(殷悅)의 후손은 모두 경주김씨가 되고 다섯째 아들은 의성군(義城君)  석




                                                                                  제2편  삼척군기(三陟君記)  179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