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3 - 동북포루 수리보고서-2020.최종
P. 113
Ⅱ. 연혁 및 건축 현황
수 있다. 이는 도리의 횡력 보강과 같은 구조적인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다
만 맞배집이 아닌 다포집에서 우미량이 보이는 것은 조선 전기 팔작지붕을 가진 고산사 대웅전이 유일
하며 여기서 우미량은 측면 하중지지와 도리구름을 방지하는 이중의 역할을 하고 있다. 우미량 결구방
법은, 보 방향으로 주심도리와 중도리사이에 곡재의 형태로 위치하며, 주심도리와 종도리의 연결은, 주
심도리에서는 주심도리 및 받침장여와 숭어턱, 또는 통으로 맞춤 결구되고, 중도리에서는 중도리 밑의
포대공과 결구되어 종보를 지지한다. 덕량이 대들보와 직각 방향에서 도리 상부에 놓이고 대들보와 연
결되어 외기를 지지하지만, 우미량은 대들보 방향에서 도리와 도리의 결속력을 위한 기능을 가진다는
측면에서 그 기능과 결구 위치가 매우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덕량이 아닌 우미량이라 불린 이유는
그만큼 과거 고증된 것들에 관하여 익숙함에 비하여 덕량이 전례가 없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동북포루의 덕량은 충량과 달리 도리 상부에 놓이면서 기둥과 짜이는 충량과 같은 높이를 구성하지 않
아도 되어 현황 치수는 263(나비) x 315(높이)mm 이다. 덕량과 충량은 같은 높이였을 것으로 보이나 현
재 충량 실측치수인 305mm로 덕량에 비하여 수축이 더 심하게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화성성역의
궤』에서 덕량의 길이는 8자로 기록되어있다. 실제 덕량의 길이는 양쪽 장부를 뺀 몸통 길이는 7.3자로
충량의 7.6자보다 보다 짧은데 이미 기둥부에 처마도리가 짜여있기 때문에 그만큼 짧아진 것이며 장부
를 포함한 총길이는 7.9자로 하였다.
〔사진2-63〕 해체한 덕량 〔사진2-64〕 덕량의 비틀림 조사(대들보에 결구하는 장부)
〔사진2-65〕 처마도리 결구부의 비틀림 도면2-17 덕량의 비틀림 조사(처마도리 결구부)
- 113 -